[뉴스센터] 트럼프발 글로벌 통상전쟁…’매드맨 전략’ 계속되나
<출연: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전부터 이야기해왔던 고율 관세 부과를 시작했습니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협상을 통해 한달간 유예를 받아냈지만 대중국 관세는 예정대로 발효됐는데요.
미국발 관세전쟁의 진짜 목적부터 글로벌 파장은 어떨지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과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시행을 하루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각국 정상과 통화했습니다. 그 결과, 한 달간 전격 유예를 하기로 했는데 어떻게 합의가 된 건가요?
<질문 2> 트럼프의 관세 정책 자체가 본질적으로 협상용 압박 카드였단 분석도 나옵니다. 트럼프 측근들은 이번 관세 조치를 무역 전쟁이 아닌 마약 전쟁이라고 강조해온 바도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한편,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 부과를 유예하기로 한 트럼프 대통령은 24시간 안에 중국 시진핑 주석과 통화할 거라고 밝혔다가 통화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대화 성사가 잘 안된 걸까요?
<질문 4> 미국이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이 전방위적인 반격 조치를 쏟아낸 상황입니다. 미중 무역 전쟁의 서막이 오른 듯 한데 극적 타협 여지는 없는걸까요?
<질문 5>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 전쟁’이 미국 자국민에게도 경제적 타격을 입힐 것이란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데 현지 반응은 어떻습니까?
<질문 5-1> 만약 미국이 EU 국가들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유럽이 강경 대응에 나선다면 ‘초대형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지 않나요?
<질문 6> ‘트럼프 관세’의 타깃이 언제든 우리나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 우리 기업 피해는 없을까요? 정부는 미국 신정부가 추진할 보호무역주의 대비에 나서고 있는데 생존 전략, 어떻게 세워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7> 마지막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싸우다 휴전에 합의한 가자지구를 미국이 관리하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중동 지역에서 폭발적인 반발을 촉발할 위험이 있는데도 이러한 발언을 꺼낸 배경은 무엇인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