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내일(10일)부터 미국에 대해 보복관세를 부과할 예정입니다.
중국은 지난 4일, 오는 10일부터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추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미국산 석탄 및 LNG에는 15% 관세, 원유, 농기계, 대형 자동차와 픽업트럭에는 10% 관세를 더 물리겠다는 겁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지난 4일 오전 0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 추가 관세를 강행하자 나온 맞대응 조치였습니다.
다만, 중국이 내놓은 대미 보복 조치들은 종류만 많았을 뿐, 대미 타격 측면에서는 강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돼 중국의 보복 관세 개시 전 미중 양국이 협상을 통해 합의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의 대미 관세 부과 전인 지난 3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아마 24시간 내로 대화할 것”이라고 밝혀 톱다운(하향식) 방식에 의한 타결 기대감을 키웠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하루 만에 시 주석과 통화를 “서두르지 않겠다”면서 “적절할 때 이뤄질 것”이라며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여 합의 조건을 찾는 것이 쉽지 않음을 시사했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시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서둘러 통화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습니다.
기업 경영자 마인드로 움직이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문제에 대해 단기간 내 합의를 이루기를 바라고 있지만, 시 주석을 비롯한 중국 지도부는 세부 의제를 먼저 정리하지 않고 고위급 통화를 진행하는 데 신중하다는 겁니다.
#보복관세 #트럼프 #시진핑 #무역전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주원([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