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미 보복관세도 발효…미중 관세전쟁 본격 개전
[앵커]
미국의 보편관세에 중국이 보복관세로 대응하면서 미·중 간 관세 전쟁이 본격 개막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가 되지 않을 경우 관세를 더 높이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양측이 대화와 협상으로 조기에 출구전략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국의 보편관세에 중국이 오늘(10일)부터 보복관세 부과로 맞대응하면서 미·중 간 무역전쟁이 본격화했습니다.
중국산 모든 제품에 10%의 추가 보편관세 부과에 맞서 중국도 미국산 석유와 LNG 등 80개 품목에 최대 15%의 추가관세 적용이 시행되는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간 톱다운 방식의 논의가 있을 걸로 전망됐지만 통화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 불발 시 관세를 더 높이겠다고 으름장을 놓은 상황이어서, 추가관세 부과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라디카 데사이/ 영국 런던정경대 객원교수> “매우 심각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트럼프 행정부가 자발적으로 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지 않습니다”
전문가들은 관세 공방전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인상의 근거로 내세운 합성마약 펜타닐 원료 수출의 경우 중국은 자신들의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관세 수위를 더 높일 경우 중국은 텅스텐 등 20여가지 희귀금속에 대한 수출 통제를 더 확대할 수 있습니다.
<허용첸 중국 상무부 대변인> “중국은 일방적인 괴롭힘 조치에 맞서는 반드시 필요한 조치를 취해 자신의 권익을 결연히 수호할 것입니다”
트럼프 1기 때인 2020년 1월 미·중 간 1차 무역 합의 당시에도 22개월간 지리한 협상 과정을 거친 만큼 미·중 간 대화 가능성은 아직 열려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문제는 미·중 간 고래 싸움의 여파에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는 역외 국가들에게 만만치 않은 피해가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baesj@yna.co.kr)
#미중무역전쟁 #中보복관세발효 #미중대화협상 #고래싸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