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세계 각국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보도국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한미희 기자.
[기자]
네, 패권 경쟁국인 중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는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상호관세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상호관세는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만큼, 미국도 상대국에 부과하겠다는 건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내용의 각서에 서명하면서 ‘공정성’을 위한 결정이라며 “어느 나라도 불평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여기에는 미국 시장이 상당히 개방된 데 반해, 무역 상대국들은 폐쇄적이어서 미국이 상당한 무역 적자를 보고 있다는 인식이 깔려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은 수입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지만, 유럽연합은 그 네 배인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대국의 관세 장벽은 물론, 상대국이 수입품에 부과하는 특수한 세금이나 환경 규제 같은 비관세 장벽까지 두루 검토해 관세율을 도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앵커]
미국에 제품을 수출하는 모든 국가가 상호관세 사정권에 놓이게 되는 셈인데요, 한국도 피할 수 없어 보이는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특히 한국은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의 대미 무역 흑자를 기록한데다, 미국 재무부의 ‘환율 관찰 대상국’으로도 재지정된 상태여서 이번 상호관세 조처에서 예외가 되긴 어려워 보인다는 전망입니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로 관세를 부과할 품목으로 예고한 것이 자동차와 반도체인데요.
한국의 대미 수출 1, 2위를 차지하는 것들이어서 추가 타격도 예상됩니다.
한국은 미국의 무역 적자액 순위에서 중국과 멕시코, 대만과 일본 등에 이어 8위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실제 고위 당국자는 “중국 공산당 같은 전략적 경쟁자이든 유럽연합이나 일본, 한국 같은 동맹이든 상관없이 모든 나라가 다른 방식으로 우리를 이용하고 있다”며 한국을 특정해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앵커]
미국이 무역 상대국별로 상황을 평가하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할 텐데요, 향후 일정은 어떻게 됩니까.
[기자]
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국가별 협상을 거쳐 관세율을 도출하는 작업은 4월 1일까지 마무리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상호관세가 실질적으로 적용되는 건 그 이후가 될 텐데요, 앞으로 남은 한 달 반 정도의 시간 동안 국가별 협상을 통해 관세를 면제하거나 관세율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은 이 협상을 성사시키기 위해 분주해질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부과를 즉시 시행하지 않기로 한 것을 두고 블룸버그 통신은 “협상을 시작하자는 ‘공개 입찰’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관세 협박을 통해 멕시코와 캐나다, 콜롬비아로부터 큰 양보를 끌어낸 것과 동일한 전략이라는 겁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미희([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