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성이 가사노동에 덜 참여하는 국가의 출산율이 더 낮으며, 이는 세계 최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한국이 대표적이라는 노벨상 수상 경제학자의 지적이 나왔습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현지시간 18일 칼럼에서 클라우디아 골딘 교수가 지난해 발표한 ‘아기와 거시경제’라는 제목의 연구를 소개했습니다.
골딘 교수는 지난 2023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자 하버드대 경제학과 첫 여성 종신교수입니다.
이 연구는 남성이 가사노동을 더 많이 하는 곳에서는 출산율이 더 높고,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더 낮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2차 세계대전 이후 고성장을 이룩하고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진 국가 가운데, 부부 중 여성의 가사노동 시간이 남성에 비해 많은 국가일수록 출산율이 낮다고 지적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2023년 기준 0.72명의 세계 최저 출산율을 기록한 한국을 지목했습니다.
한국 여성이 남성보다 매일 3시간 더 많이 가사노동을 한다는 조사된 데 대해 “한국은 부부 평등 측면에서 과거에 갇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급속한 경제 성장과 현대화를 이룬 한국에서, 여성은 경력을 쌓고 싶어 하지만 남성은 여전히 아내가 집에 머물러야 한다는 전통적 생각을 갖고 있어 이러한 인식의 충돌이 출산율의 급격한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지목했습니다.
골딘 교수는 부부가 육아와 가사 노동을 균등하게 분담하기 위한 방법으로 “남성은 다른 아빠들도 집안일을 더 많이 하고 있다고 믿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또 낮은 출산율에 대해 “너무 많이 초조해한다”면서도 미국 의회에는 스웨덴, 프랑스, 영국, 캐나다처럼 정부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보육 서비스 제공을 해법으로 제시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윤주([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