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인공지능,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으로 AI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챗GPT 이용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픈AI 최고운영책임자(COO) 브래드 라이트캡은 현지시간 20일, 미 경제전문 케이블방송인 CNBC와의 인터뷰에서 “2월 기준 챗GPT 주간 활성 이용자 수가 4억 명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12월 3억 명에서 불과 2개월 만에 33% 증가한 수치입니다.
라이트캡 COO는 “사람들은 입소문을 통해 듣고 친구들이 사용하는 것을 보고, 그 유용성을 확인하고 있다”며 이용자들이 챗GPT의 유용함과 필요성을 느끼고 실제 사용을 통해 효과를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업 고객도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현재 유료 기업 이용자 수는 200만명으로 6개월 전보다 두 배로 증가했습니다. 차량 공유업체 우버와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제약회사 모더나, 통신회사 T-모바일 등이 주요 고객입니다.
개발자 트래픽 또한 지난 6개월 동안 두 배로 증가했으며, 특히 추론 모델인 ‘o3’의 경우 5배 증가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챗GPT 이용자 급증은 중국의 딥시크 모델이 전 세계 기술 업계를 강타하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발표됐습니다.
딥시크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 V3와 R1은 미 대형 기술 기업들이 내놓은 모델의 10분의 1도 안되는 개발 비용에도 일부 테스트에서 오픈AI의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내면서 인기몰이를 했습니다.
지난달에는 딥시크 모델 앱이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챗GPT를 밀어내고 1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다만, 정보 유출 우려로 미국을 비롯해 일본과 한국, 대만, 이탈리아 등 전세계적으로 딥시크 이용 금지령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챗봇 #챗GPT #딥시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주원(nanju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