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우려 속에 미국 정보기술 대기업 애플이 파격적인 국내 투자를 약속하고 나섰습니다.
애플은 현지시간 24일 성명을 통해 “앞으로 4년 동안 미국에 5천억달러, 우리 돈 약 714조원 이상을 지출·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애플은 미국에 대한 투자는 이번이 역대 최대 규모라며, 2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신규 2만개 일자리는 연구개발(R&D)과 실리콘 엔지니어링, 인공지능(AI) 분야에 집중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애플은 또 ‘폭스콘 테크놀로지 그룹’과 함께 올해 말 휴스턴에서 (생성형 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의 구성 요소인 ‘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시스템을 구동하는 서버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는 “미국 제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게 돼 기쁘다”며 “미국 혁신의 역사에서 놀라운 새 장을 쓰기 위해 미국 전역의 사람들, 기업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발표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는데, 아이폰 등 자사 기기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에 판매하는 애플로서는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트럼프 1기 때에도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가 부과됐으나, 쿡 CEO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 관세 면제를 얻어낸 바 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쿡 최고경영자는 당시 애플에 부과하는 관세가 한국의 삼성전자 같은 경쟁사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전했습니다.
#애플 #팀_쿡 #관세 #트럼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