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발표하는 상호 관세와 관련해 대상국과의 협상에 열려있다고 28일 (현지시간) 공개적으로 언급했습니다.
다만, 미국이 얻을 게 있을 경우에 한해서이고, 그마저도 상호 관세 발표 이후에나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관건은 부과 대상 범위와 세율, 그리고 해당 조처를 하는 이유를 뭐라고 설명하는지입니다.
당초 트럼프 행정부가 대미 무역 흑자를 많이 내는 10여개 나라를 표적으로 삼아 고율 관세를 매길 거라는 관측이 제기됐습니다.
상대국의 관세와 함께 비관세 장벽까지 고려한 일종의 보복성 관세입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예외를 많이 두겠다고 했다가,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대신 “관대함을 기대하라”는 등 엇갈린 메시지를 발신한 바 있습니다.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에 대한 25퍼센트 관세를 공식화한 데 이어, 머지않아 의약품 관세 발표도 예고했습니다.
세율은 아직 정해지진 않았지만, 제약 회사들이 생산 시설을 미국으로 옮기도록 하는 데 충분한 수준이 될 거라고 전했습니다.
“관세는 아름다운 단어이고, 융통성은 중요한 단어”라고 밝힌 트럼프 대통령.
‘점입가경’으로 치닫는 트럼프발 관세 압박으로 전 세계 시장은 불확실성에 짓눌리고, 한국을 포함한 주요 대미 무역 흑자국들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상호관세 #협상 #의약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치동([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