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미얀마 강진으로 인한 사상자가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이틀째인 어제 저녁 기준으로 사망자만 1,600명을 넘었는데요, 자세한 소식 보도국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한미희 기자,
[ 기자 ]
네, 미얀마 군사정권은 현지시간 29일 오후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는 1,600여명, 부상자는 3,400여명을 넘었다고 밝혔습니다.
전날 발표된 사망자는 140여명이었는데, 하루 만에 10배 넘게 불어난 겁니다.
붕괴된 건물에서 시신이 계속 발견되는 데다, 여진이 이어지면서 사상자 수는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미얀마는 현재 내전이 진행 중인 나라로, 당국이 통제하지 못하는 지역도 많고, 통신망도 파괴돼 피해 규모 파악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규모 7.7의 이번 지진은 지난 금요일 낮, 미얀마 중부에 있는 제2도시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했는데요,
이미 오랜 내전으로 인프라와 사회 시스템 상당 부분이 무너진 상황에서 덮친 강진으로 피해는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미국 지질조사국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만명 이상일 가능성을 67%로 추산했습니다.
경제적 손실이 100억 달러, 14조원이 넘을 확률은 65%로, 미얀마 국내총생산을 넘어설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 앵커 ]
이런 참사 와중에도 군부는 반군에 대한 폭격을 멈추지 않고 있다고요?
[ 기자 ]
네, 지진이 발생한 지 세 시간이 채 지나지 않은 시간에 만달레이에서 약 100㎞ 떨어진 나웅초에서는 폭격으로 7명이 사망했습니다.
공습은 진원지에 가까운 사가잉부터 태국과의 국경 인근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이뤄졌는데요, 군부와 달리 반군은 지진 피해 지역에서 방어를 제외한 모든 공격을 중단하겠다고 휴전을 선언했습니다.
또 반군이 장악한 지역에서는 유엔과 국제기구의 안전을 보장하고 구호활동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군부가 이에 화답하지 않고 공습을 이어가면서 국제사회의 구호 활동도 제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군부는 과거에도 자연 재해가 발생했을 때 인도적 지원을 무기화해 필요한 곳에 지원이 이뤄지는 것을 차단했다고 유엔 당국자는 우려했습니다.
미얀마 군부는 2020년 총선을 부정 선거라고 주장하며 이듬해 2월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탈취했습니다.
현재는 민주 진영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 산하의 시민방위군과 소수민족 무장단체의 반격으로 수세에 몰려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미얀마 #강진 #군부 #휴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미희([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