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군에 한반도 문제 등에서 역할을 줄이라는 지침이 내려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대신, 미국은 중국 억제에만 집중하겠다는 건데요.
동맹국에 대한 방위비 인상 압박 계획도 담겼습니다.
보도에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트럼프 행정부가 미군의 역량을 자국 본토 방어와 중국 억제에 집중시키는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북한, 러시아, 이란의 역내 안보 위협 대응은 인접 동맹국들이 주도하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이 이러한 내용을 담아 최근 기밀로 하달한 새 전략 지침을 워싱턴포스트 신문이 입수해 보도했습니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 (도쿄, 현지시간 30일)> “미국은 대만 해협을 포함한 인도·태평양에서 강력하고 준비된, 신뢰할 수 있는 억지력을 유지할 겁니다. 일본은 서태평양에서 있을 수 있는 만일의 사태 대처의 최전선에 있을 겁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동맹 강화 기조 속에 여러 소규모 안보 협력체를 만들어 지역 방어에 깊숙이 관여했습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대만 침공 막기 이외의 문제엔 병력과 재정 투입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깜빡이를 켠 겁니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와 유럽, 중동에 있는 동맹국들이 더 큰 부담과 책임을 지도록 압력을 가할 계획이라고 해당 지침에 적혀 있습니다.
러시아에 맞서는 유럽 주요국들은 이미 자체 핵우산까지 언급하며 자구책 모색에 나섰습니다.
일본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상 (도쿄, 현지시간 30일)> “첨단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암람 (AMRAAM)’ 공동 생산을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하기 위한 노력에 속도를 내겠습니다. 지대공 미사일인 SM-6의 공동 생산 가능성 모색 의사도 (미국에) 전달합니다.”
미국의 이른바 ‘안보 분업’ 전략을 무기 개발과 수출 협력 계기로 삼겠다는 겁니다.
한국도 방위비 분담금 대폭 인상안을 상수로 두고, 미국에 내밀 ‘청구서’와 협상 전략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펜타곤 #안보지침 #중국 #북한 #방위비 #일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치동([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