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율이 혼선과 수정 끝에 25%로 확정됐습니다.
현지시간 2일,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에 들고 나온 패널에 적힌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였습니다.
하지만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명시됐습니다.
백악관은 당초 행정명령 부속서를 따라야 한다며 26%가 맞다고 확인했지만, 이튿날 다시 25%로 수정했습니다.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 이런 오류가 빚어졌지만 구체적인 해명은 없었습니다.
단순히 미국의 무역 적자액을 수입액으로 나눈 주먹구구식 계산법에 대한 비판은 자국 내에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버드대 총장을 지낸 로런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창조론으로 생물학을, 점성술로 천문학을 설명하려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습니다.
자신이 속한 행정부였다면 “항의의 뜻으로 사임했을 것”이라며 트럼프행정부 관료들을 직격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주요 무역 상대국들뿐만 아니라 펭귄만 사는 남극과 북극해의 무인도에까지 상호관세를 부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구 2천명이 사는 호주의 외딴 화산섬 노퍽은 호주의 다른 지역보다 19%포인트나 높은 관세를 맞았습니다.
호주 총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인 조치가 놀라운 일은 아니지만, 전혀 근거가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미국의 유명 투자자 역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너무 지나치다는 걱정을 업계에서 공유하고 있다”며 “정책을 조정하지 않으면 미국 경제에 지속적이면서도 연쇄적인 해를 끼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미희 기자 [email protected]
#트럼프 #상호관세 #주먹구구 #남극_무인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미희([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