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당국은 올해 2월 헤이룽장성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과 관련해 미국을 비롯한 해외에서 27만회 이상의 사이버공격이 있었으며 이 가운데 미국발이 가장 많았다고 오늘(3일) 밝혔습니다.
중국 국가컴퓨터바이러스응급처리센터 겸 컴퓨터바이러스백신검사센터는 ‘제9회 동계 아시안게임 정보시스템 등에 대한 해외 사이버공격 상황 모니터링 및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센터 측은 “올해 2월 7~14일 열린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은 국내외적으로 많은 관심을 불러옴과 동시에 해외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됐다”면서 “해외에서 27만 167회에 걸쳐 경기 정보 시스템 등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으나, 보안 당국의 노력으로 경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공격은 대부분 미국과 네덜란드에서 이뤄졌는데, 그중에서 미국은 17만 864회로 63%에 달했으며, 싱가포르(4만 449회, 14.97%), 네덜란드(1만 2,414회, 4.95%), 독일(6,682회, 2.47%), 한국(1,281회, 0.47%)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또 올해 1월 31일부터 2월 14일까지 헤이룽장성 내 주요 인프라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의 출처는 네덜란드 3,798만회, 미국 1,179만회, 태국 72만회 등으로 집계됐다고 센터는 밝혔습니.
센터 측은 “면밀히 분석한 결과 이번 사이버 공격이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