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여파로 미국 증시가 연일 폭락하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되면서 여당인 공화당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상호관세에 대한 미국 내 반발 여론이 확산하면서 공화당 지지도가 취약한 지역의 의원들을 중심으로 위기감이 형성되는 분위기입니다.
의회 전문매체 더힐은 현지시간 6일 일부 경합 지역구 출신 공화당 의원들이 상호관세로 인해 유권자들로부터 압박받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버지니아주의 경합 지역을 지역구로 둔 공화당의 젠 키건스 하원의원은 최근 전화 타운홀 행사에서 유권자로부터 ‘인플레이션을 초래하는 관세 정책에 대한 입장이 뭐냐’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이에 키건스 의원은 “우려와 불안이 있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우리는 관세의 역할, 왜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했는지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한다”라면서 “인내심을 갖고 최종 목표를 기억해달라”라고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습니다.
지난해 대선 때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이 우세를 보였던 네브래스카주 출신 돈 베이컨 하원의원은 트럼프 2기 정부의 일부 정책 방향을 평가하면서도 “네브래스카 주민들은 무역 분쟁이 아닌 자유 무역 협정을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상원의원들 사이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친(親)트럼프 인사인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텍사스)은 지난 5일 팟캐스트에서 “지구상의 모든 국가가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끔찍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면서 “미국이 경기침체를 겪고, 국민이 큰 고통을 겪는다면 유권자들은 여당을 처벌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제리 모런 상원의원(캔자스)은 자신의 지역구민 상당수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지나치게 공격적이라고 우려한다고 밝혔습니다.
공화당 의원들의 잇단 우려 표명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경제 정책으로 인해 민심 이반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상호관세 발표 전인 지난달 말 공개된 AP통신의 여론조사에서 경제 분야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40%에 그쳤습니다.
한 공화당 전략가는 “이 문제가 너무 오래 지속돼 사람들 마음에 굳어진다면, 이후 상황이 완화되고 나아가 이전과 비슷해진다고 해도 공화당은 위험에 처하게 된다”라면서 “내년 중간선거 때 단기적인 고통이 있거나 인플레이션이 존재한다면 공화당은 완패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도 이날 보도에서 “공화당 의원들 사이에서 관세에 대한 일부 저항이나 작은 반대의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향후 더 커질 수 있다”라면서 “공화당의 성패는 기본적으로 관세 및 경제 상황과 맞물려 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상호관세 #공화당 #중간선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