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한미 정상간 통화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의 방위비 문제에 집중했습니다.
이에 본격적인 방위비 분담금 증액 압박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김주영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화통화에서 한미동맹 강화와 경제협력, 북핵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한 대행과 통화 후 자신의 SNS에 훌륭한 대화를 나눴다고 적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와 관세, 조선업 그리고 대규모 군사적 보호에 대한 비용 지불 등을 논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초점을 맞춘 부분은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문제였는데, 우리 정부의 발표에 관련 내용은 없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자신의 첫 임기 때 수십억 달러의 군사적 비용 지불을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바이든 전 대통령이 이를 알 수 없는 이유로 파기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양국 모두를 위한 훌륭한 합의의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는데,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의지를 드러낸 것이란 해석이 나옵니다.
더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원스톱 쇼핑’이 “아름답고 효율적인 과정”이라고도 강조했습니다.
이는 무역과 산업, 안보를 아우르는 포괄적 협상에 나서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한미는 지난해 10월 타결한 방위비 분담금 협정에서 2026년부터 적용하는 방위비 분담금을 전년 대비 8.3% 인상한 1조 5,192억원으로 정했습니다.
또 2030년까지 매년 분담금을 올릴 때 소비자물가지수 증가율을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으로 높은 증액을 요구하는 방위비 협상이 다시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됩니다.
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
#트럼프 #한덕수 #방위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주영([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