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관세 전쟁의 전선을 중국으로 좁힌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당초 알려진 것보다 더 높은 관세를 중국에 부과할거라는 현지 언론 보도가 나왔습니다.
워싱턴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정호윤 특파원.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시작한 관세 전쟁의 궁극적인 타깃은 중국으로 확인됐죠.
다른 나라의 상호관세는 90일간 묶어두고, 당초 오늘부터 중국에만 125%의 관세 폭탄을 퍼부을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125% 관세도 어마어마한 수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도 높다고 미국 주요 언론들이 백악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상호관세율만 125%고, 여기에 앞서 펜타닐 원료 반입을 문제 삼아 별도로 부과했던 20%까지 더하면 실제 관세율은 145%라는 겁니다.
이같은 내용은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명시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중국에 대한 무역 적자를 다시 언급하며, 관세 폭탄이 애초부터 중국을 겨냥한 것임을 시사하기도 했는데요.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중국은 (미국을 상대로) 1조 달러의 무역 흑자를 냈습니다. 정말 경이로운 수치입니다.”
그러면서도 중국과의 협상 의지를 밝혀 솔직한 속내가 무엇인지 의문을 품게 만들기도 했습니다.
잠시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우리는 결국엔 미중 양국에 아주 좋은 협상을 이끌어낼 것이고 이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이번에는 어떤 반응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앵커]
그런가 하면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받은 다른 나라들은 미국과의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 트럼프 행정부는 어제 75개국 정도가 된다고 언급했었는데요.
현지시간 오늘 0시1분을 기해 이들 국가들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는 멈췄습니다.
당연히 우리나라도 포함됐습니다.
앞으로 90일간 본격적인 협상의 시간을 맞게 된 건데요.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이미 15개 국가에서 관세 인하를 위한 구체적인 제안을 해왔다고 공개했습니다.
해당 국가의 제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결승선이 가까워진 나라도 있다며 만족감을 드러냈습니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케빈 해싯 위원장의 말입니다.
<케빈 해싯 /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무역대표부는 15개국 정도에서 구체적인 (관세 협상) 제안을 해왔는데,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할 만큼 충분히 좋은지 검토하고 있다고 알려왔습니다.”
다시 말해 보고를 받은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우선 협상할 국가의 목록을 추린 뒤에, 중점 협상에 나선다는 것이 미국 정부의 방침입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조선업 재건 의지를 강조하며 미국과 가까운 다른 나라로부터 선박을 구매할 수 있음을 시사했는데요.
이 분야에서 경쟁력 세계 1위인 우리 조선업계에 호재가 될 거라는 기대감을 모읍니다.
[앵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술적 관세 후퇴’는 결국 미국 경제 상황 때문에 불가피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는데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하루 전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하기로 한 이유로 “사람들이 겁을 먹었기 때문”이라고 밝혔었죠.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트럼프 스스로도 어느 정도는 겁을 먹은게 아니냐는 의구심이 듭니다.
관세 전쟁이 막을 올린 뒤 안팎의 상황이 매우 좋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정치권은 압박하고, 증시가 요동치며 월가의 반발은 커지는데다 채권시장까지 불안해지니 ‘유턴’을 할 수 밖에 없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한 마디로 트럼프의 일방주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를 불안감에 떨게 했다는 것인데요.
오늘 트럼프 대통령이 주재한 내각회의에 모든 부처 장관들이 참석했는데요.
재무-상무 같은 주무 부처는 물론이고 거의 모든 장관들이 트럼프 대통령 엄호에 힘을 쏟는 모습이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농무부 장관의 발언, 잠시 들어보시죠.
<브룩 롤린스 / 미국 농무부 장관>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와 규제 완화, 관세 재편, 경제 재정비라는 구상에 시장이 점점 적응해 가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 여파 속에 뉴욕 증시는 다시 폭락했는데요.
어제 상호관세 유예 결정으로 역대급 폭등했던 3대 주가지수는 중국에 대한 관세가 145%에 이르는 것으로 다시 산정되면서 나스닥이 4.3% 폭락하는 등 가파르게 떨어졌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트럼프 #상호관세 #중국 #145%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