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주둔 비용 문제와 무역 불균형 해소란 두 마리 토끼를 한 방에 잡겠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협상 전략을 고민 중인 우리 정부는 물론, 대선을 코앞에 둔 정치권에도 큰 숙제가 주어졌습니다.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중국을 제외한 주요 무역 상대국과 최대 석 달간 ‘관세 협상’을 선언한 트럼프 대통령.
유럽에 주둔 중인 미군 감축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답하면서 굳이 한국도 언급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상황에 따라 다르죠. 우리는 유럽에서 군대를 위해 돈을 쓰면서도, 많이 보전받지 못하잖아요. 한국에서도요.”
방위비는 무역과 관련이 없다면서도, 같이 묶어서 해결하는 게 낫다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위비는) 무역과 무관하지만, 협상 일부로 할 거로 봅니다. 그게 상식적이니까요. 국가별로 하나의 패키지로 묶는 게 좋겠죠.”
앞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통화 결과를 전하며 ‘원스톱 쇼핑’이란 표현을 쓴 데 이어, 방위비와 무역 적자 문제를 한 방에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드러낸 겁니다.
이날 언급은 폭탄 관세 외에 주한미군 감축 카드도 있다는 걸 공개적으로 시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따라, 주한미군의 이른바 ‘전략적 유연성’ 문제도 협상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은 하원 청문회에서 한국의 ‘입지적 우위’를 강조했습니다.
중국과 북한 동시 견제 등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주한미군이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설명입니다.
이는 우리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에서 적극적으로 내세울 포인트 중 하나입니다.
특히, 이번 조기 대선 정국에서 후보들이 한미동맹 강화론과 미중 균형 외교론, 그리고 독자 핵무장론까지 여러 방안을 놓고 치열한 논쟁을 벌일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트럼프 #주한미군 #방위비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치동([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