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스마트폰과 컴퓨터 같은 전자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던 미국 정부가 다시 말을 바꿨습니다.
조만간 반도체 관세에 묶어 관세를 매기겠다는 것인데, 국가 안보 차원이라는 이유를 달았습니다.
워싱턴 정호윤 특파원입니다.
[기자]
지난주 스마트폰과 일부 컴퓨터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의 예외로 두겠다는 미 트럼프 행정부 관세당국의 발표가 나오자 일부에서는 트럼프 특유의 강경한 관세 기조가 한풀 꺾였다는 희망섞인 관측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이틀만에 이들 전자 제품에도 조만간 품목별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살짝 말을 바꿨습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미 ABC 방송 출연)> “(스마트폰 컴퓨터 같은) 제품은 반도체 제품에 속하게 될 겁니다. 이러한 제품들이 안심하고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하게 집중된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겁니다.”
곧 발효될 반도체 관세에 포함하겠다는 것으로 앞으로 한 두 달 이내에 시행될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미 ABC 방송 출연)> “아마 한 두달 내에 시행될 겁니다. 곧 다가올 일입니다. 범위 밖(관세 면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의약품 처럼 반도체 분야에 포함된다고 생각해야 할 겁니다.”
국가별 협의를 거쳐 차등을 두는 상호관세와는 달리 반도체 같은 특정 품목에 매기는 관세는 미국 안보를 위해 협상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예외가 아니라 관세의 다른 범주로 이동했을 뿐”이라며 “국가 안보를 위해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들여다보고 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처럼 자고나면 뒤바뀌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교역 대상국은 물론 미국 국민들의 피로감도 쌓이고 있습니다.
미 CBS 방송이 공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75%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고, CNBC방송은 특히 미중간 무역 전쟁이 길어질 수록 미국 기업이 받게될 피해는 되돌릴 수 없을 거라는 전문가들의 경고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의 대화 계획은 아직 없다고 털어놔, 관세를 앞세운 미국과 중국의 살얼음판 신경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관측됩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트럼프 #관세 #스마트폰 #컴퓨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