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돌연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기로 입장을 바꾼 이유가 미 국채 금리의 불안정 때문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트럼프의 개인 금융자산에서 채권 비중이 60%나 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해 기준 트럼프 대통령의 재산 내역을 분석한 결과 채권 비율이 60%에 달한 반면 주식 투자 비율은 10% 미만이었다고 보도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재정 때문에 관세 유예를 결정했다는 정황은 없다면서도 재산 가치가 위태해지자 행동에 나섰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또 이번에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기 재산을 통제할 수 없는 곳에 백지위임하지 않아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가 부각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강재은 기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강재은([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