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팔 당국이 히말라야산맥 등지에 서식하는 눈표범 개체수를 처음 조사한 결과, 총 400마리가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AFP통신이 현지시간 22일 보도했습니다.
네팔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 보전부에 따르면 동작 감지 카메라와 유전자 분석 등을 통해 네팔 전역에 397마리의 눈표범이 서식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짙은 회색 털가죽에 검은 점이 찍힌 눈표범은 눈 위에서 움직이기 편한 설피처럼 큰 발이 있습니다.
아시아 지역에 사는 눈표범은 서식지 감소, 기후변화, 밀렵 등으로 개체수가 계속 줄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보전부 소속 생태학자 하리브하드라 아차리아는 “이번 발표는 네팔의 눈표범 보전 여정에서 하나의 역사적 단계에 해당한다”면서 “우리가 연구진의 지대한 노력으로 정통한 데이터를 얻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습니다.
네발 당국이 이번에 발표한 개체수는 기존 추정치의 최다 수준에 근접한 것이어서 고무적인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IUCN은 네팔 내 눈표범 개체수를 301~400 마리로 추정했습니다.
눈표범은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적은 데다 깊은 산악지대에 서식해, 연구 진척도가 가장 더딘 대형 고양잇과 동물입니다.
세계자연기금(WWF) 네팔 대표 가나 구룽은 AFP에 “네팔은 세계적으로 눈표범 서식지의 2%를 차지하지만, 추산 개체수로는 10%를 점유한다”며 “네팔은 부탄에 이어 눈표범 서식지 규모로는 두 번째로 작은 나라지만 개체수에선 세계에서 4번째”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에 본부를 둔 눈표범 보전단체 ‘눈표범 트러스트’는 세계적으로 정확한 눈표범 개체수는 알려지지 않지만, 아시아 12개 국가에서 3,920~6,39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눈표범 #네팔 #히말라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