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강세가 이틀째 강세를 기록했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무역협상을 두고 설명이 엇갈리면서 의구심을 낳았지만 중국을 제외한 주요국이 미국과 관세 협상을 하는 만큼 결국 관세 불확실성도 약해질 것이라는 관측에 매수세가 몰렸습니다.
현지시간 24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86.83포인트(1.23%) 뛴 40,093.40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08.91포인트(2.03%) 상승한 5,484.77, 나스닥종합지수는 457.99포인트(2.74%) 급등한 17,166.04에 장을 마쳤습니다.
증시를 밀어 올릴 만한 뚜렷한 호재는 없었습니다. 오히려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은 양측 설명이 엇갈리면서 오히려 협상이 공회전한다는 의구심만 자극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요나스 가르 스퇴르 노르웨이 총리와의 오찬 회동에서 중국의 누구와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이냐는 질문을 받자 “그들은 오늘 오전에 회의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중국 측의 설명과 어긋나는 것으로, 앞서 중국 정부는 미국과 무역협상을 하고 있지 않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중국 외교부는 미·중 무역 협상과 관련해 “내가 아는 바로 양측은 관세 문제에 대해 협의 또는 협상하지 않았다”며 “합의 도달은 말할 것도 없다”고 이날 밝혔습니다.
하지만 미중 무역협상이 삐그덕대고 있음에도 투자자들은 매수 드라이브를 걸었습니다. 한국과 일본, 인도 등 주요 교역국과 미국이 관세 협상에 들어갔고 결국 관세 불확실성도 잦아들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입니다.
트럼프가 자동차 업체들을 위해 부품 관세 일부를 면제하겠다고 한 점도 낙관론에 힘을 실었습니다.
이 방안의 핵심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철강·알루미늄 관세(25%) 부과 대상에서 자동차 부품은 제외하는 것으로, 이 같은 트럼프의 조치는 관세 면제 대상이 더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이어졌습니다.
다만 증시 낙관론과 별개로 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은 더욱 짙어졌다는 분석도 잇따랐습니다.
UBS의 숀 시몬즈 전략가는 “시장은 미국 경기침체 방향으로 빠르게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며 “관세에 민감한 주식의 가격이 공격적으로 재조정되고 있는데 현재 시장 대비 20% 하락했다”고 짚었습니다.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릿지워터어쏘시에이츠도 “우리는 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침체를 예상하고 있다”며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졌다”고 지적했습니다.
업종별로는 필수소비재를 제외한 모든 종목이 오른 가운데 기술은 3.54% 급등했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5.63% 튀어 올랐습니다.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이 모두 강세였고 TSMC, 퀄컴, AMD는 4%대, 브로드컴과 텍사스인스트루먼츠, Arm 등은 6%대 강세를 기록했습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도 모두 뜨겁게 달아올라,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 아마존, 테슬라까지 모두 3%대 강세를 기록했습니다.
알파벳은 이날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4% 넘게 뛰고 있습니다.
알파벳은 1분기 매출이 901억3천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은 2.81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는 각각 891억2천만달러와 2.01달러였다.
미국에서 한 주간 신규로 실업보험을 청구한 건수는 다시 증가했습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월 19일로 끝난 한 주 동안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는 계절 조정 기준 22만2천명으로 집계돼 직전주 대비 6천명 증가했습니다.
#뉴욕증시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주원([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