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5%까지 끌어올린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하향 조정할 의사를 다시 한번 내비쳤습니다.
다만 미국이 일방적으로 먼저 관세를 인하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미희 기자입니다.
[기자]
하루 전 중국에 부과하고 있는 관세가 너무 높다며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튿날 시점까지 제시했습니다.
그는 대중 관세율을 “2∼3주 안에 정할 것”이라며 얼마나 빨리 내릴 수 있을지는 중국에 달렸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미중 양국이 상대국에 부과하는 관세가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것이 “무역 금수 조치에 상응하는 것이며 양국의 무역이 중단되는 건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도 말했습니다.
그는 양국의 협의가 진행되기 전에 관세율을 내려야 한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먼저 조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백악관 역시 중국에 대한 일방적인 관세 인하 조치는 없을 것이라고 확인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의 경제 모델이 지속적으로 무역 불균형을 만든다며 이대로 가면 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를 해친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중국과의 빅딜 기회가 있다며 포괄적 합의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율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지 않은 가운데 여러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 백악관 고위 인사는 50∼65% 정도로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고 월스트리트저널은 보도했습니다.
또 일부는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차등 부과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 하원의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는 전략 품목에는 100%를, 그 외에는 35%를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
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
#트럼프 #중국 #관세
영상편집 김은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미희([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