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인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이 현지시간 24일 차기 교황 유력 후보설에 손사래를 치며 무의미한 추측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유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취재차 바티칸을 찾은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다음 교황이 누가 될지는 그 누구도 알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지금까지 언론이 맞힌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역사적인 사실”이라며 “틀림없이 모두 빗나갈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유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후임자를 뽑는 콘클라베(Conclave·교황 선출을 위한 추기경단 비밀회의)의 투표 구조상 누구도 차기 교황을 예측할 수 없다고 단언했습니다.
콘클라베에는 출마 선언이나 공식 후보 등록이 없기 때문에 유력 후보를 점치는 것 자체가 콘클라베의 투표 구조와는 맞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는 “결국은 표가 모이는 방향을 통해 차기 교황이 결정되겠지만 그전에는 누구도 맞힐 수 없고, 맞힌 적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후 후임 교황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유 추기경은 이탈리아 최대 일간지 코리에레델라세라가 꼽은 차기 교황 유력 후보 12명에 이름을 올려 관심을 끌었습니다.
가톨릭계에서는 교세가 침체한 유럽과는 달리 나날이 교세가 성장하고 있는 아시아·아프리카 출신 교황 탄생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유 추기경은 지난해 12월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뽑은 주목해야 할 차기 교황 후보군에 뽑히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 유 추기경은 “영광스럽지만 감히…”라며 “하하하 웃고 넘겼다”고 답했습니다.
한국인 성직자 최초의 교황청 장관인 유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과 각별한 인연을 이어왔습니다.
유 추기경은 세월호 참사 직후 한국을 찾은 프란치스코 교황을 수행했던 때를 떠올리며 “이미 교황은 한국에 대해 잘 아셨다”고 회상했습니다.
또 교황이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도 잘 알고 있었으며 “한국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느냐”며 “잘 해결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교황은 한국의 분단 현실에 대해서도 깊은 연민을 보였다고 유 추기경은 덧붙였습니다.
유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은 정말 훌륭하고 멋있게 사셨다. 더 이상 뵐 수 없다는 아쉬움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라며 “나도 그렇게 가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부러움이 강하게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차기 교황이 누가 되든 가장 필요한 자질로 ‘경청하는 자세’를 꼽았습니다.
유 추기경은 “지금은 참으로 어려운 시대다. 모두가 자기 목소리만 내고 남의 이야기를 들으려 하지 않는다”며 “그래서 차기 교황은 타인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줄 아는 지도자여야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도 잘 듣는 게 중요하다고 늘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나 역시 바티칸에 도착한 이후 가장 많이 드린 기도가 바로 ‘하느님, 제가 잘 들을 수 있게 해주십시요’였다”며 “경청은 사랑이며, 그것이 복음을 실천하는 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주요 외신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을 개혁 성향으로 규정하고 차기 교황 선출을 ‘보수 대 개혁’ 구도로 묘사한 데 대해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유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은 개혁적이라고 부르기보다 복음적이라고 부르는 것이 맞다. 원수를 사랑하라는 말을 따르는 것보다 더 큰 쇄신과 개혁이 어디 있느냐”고 반문했습니다.
그러면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복음을 실천했기에 자연스럽게 쇄신과 개혁이 이뤄진 것이라며 “중요한 것은 보수나 개혁이냐가 아니라 복음대로 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흥식 #추기경 #프란치스코교황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준흠([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