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통상 정책을 관장하는 무역대표부 대표 지명자 제이미슨 그리어가 자국의 기술기업을 견제하려는 시도에 강력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독과점을 규제하려는 한국의 이른바 ‘플랫폼법’ 입법 추진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리어 지명자는 인사청문회에서 ‘유럽과 한국 등이 미국 기술기업을 견제하려는 것에 맞서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 다시 그렇게 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미국상공회의소 등은 그동안 한국의 플랫폼법이 중국 기업은 건드리지 않고 애플과 구글, 아마존, 메타 등 미국 기업들만 규제한다며 반대해 왔습니다.
그리어 지명자가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에 제3국이 ‘무임승차’ 하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밝힌 것도 주목됩니다.
멕시코에 생산 기지를 두고 미국 시장에 수출하는 한국과 중국 등 제3국 기업들을 가리킨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국 기업 가운데는 삼성전자, LG전자,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트랜시스 등이 멕시코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에는 3국 무역협정을 재검토하겠다는 발언이 리스크가 될 수도 있을 전망입니다.
그리어 지명자는 미국이 미국의 이익에 더 부합하도록 국제무역 시스템을 재구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금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래원([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