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가계의 구매력을 연간 평균 4,700달러(약 680만 원) 떨어뜨린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미국 NBC 방송은 현지시간 10일 정부 예산을 연구하는 예일대 예산연구소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발표한 일련의 관세 부과로 미국 가계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연구소는 올해 발표한 관세에 따른 단기적인 물가 상승률이 2.9%에 이른다는 전제 아래 가계가 떠안을 손실액을 계산했습니다.
단기적으로 의류 가격은 64%, 직물 가격은 44%까지 급등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식품 가격은 장기적으로 3% 상승하는 가운데 자동차는 장기적으로 19% 가격이 올라 지난해 신차 평균을 기준으로 9천달러(약 1,300만 원) 비싸진다고 전망했습니다.
예산연구소는 관세가 단기적으로 역진성이 있기 때문에 소득이 낮은 가구의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NBC 방송은 UBS와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 등의 분석자료를 근거로 차량 부품, 전자기기, 커피, 쌀, 와인, 해산물, 장난감 등 다양한 소비 품목에서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전했습니다.
중국에서 제조되는 애플의 최고급 사양 아이폰은 350달러(약 50만 원) 이상 비싸지고, 차량 부품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은 최고 2만달러(약 2,900만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국가별 상호관세의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긴 했지만, 기본 관세 10%를 비롯한 상당수 관세가 발효 중인 데다 이미 시장에 불확실성이 팽배해진 만큼 단기적 진정 효과 이상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실제 워싱턴포스트(WP)는 국가별 상호관세의 유예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수입하는 상품의 평균 유효 관세율은 26.8%에서 27%로 소폭 올랐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같은 날 중국 제품에 대한 합계 관세율을 145%까지 올린 영향이 국가별 상호관세 유예 효과를 상쇄했기 때문입니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인이 수입품을 많이 구매하지 않는 나라의 관세가 대부분 떨어졌다”며 “주요 무역 상대인 중국의 관세가 전체 물가 상승을 견인하기 충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상호관세 #가계구매력 #트럼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