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전자제품에 대해 대중(對中) 상호관세를 면제하기로 하면서 애플 등 거대 기술기업의 수혜가 예상된다는 전망에 매수 심리가 강해졌습니다.
현지시간 14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12.08포인트(0.78%) 뛴 40,524.79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2.61포인트(0.79%) 오른 5,405.97, 나스닥종합지수는 107.03포인트(0.64%) 오른 16,831.48에 장을 마쳤습니다.
트럼프가 관세를 두고 계속 혼란을 조장하는 가운데 증시는 일단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에 상승으로 화답했습니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은 주말동안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습니다.
트럼프가 부과하는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항목들을 담은 공지로, 제외 대상은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입니다.
이 같은 발표에 애플 등 거대 기술기업이 대중 상호관세의 폭탄을 피해 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생겼고 이는 주가 강세로 이어졌습니다.
아르젠트캐피털매니지먼트의 제드 엘러브룩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시장은 행정부가 아마도 가장 극단적인 관세 제안에서 어떤 식으로든 후퇴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며 “이는 점진적으로 좋은 소식”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무조건 강세 일변도로 기울기에는 그것을 상쇄할 만한 발언도 많았습니다.
트럼프는 세관국경보호국 발표 이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이 제품들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으며 다른 관세 범주로 옮겨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당초 상호관세를 발표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반도체는 의약품 등과 함께 개별 관세 대상이 될 것이며 이에 대한 조사도 진행되고 있다는 게 트럼프의 입장입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도 이날 인터뷰에서 스마트폰과 메모리 칩 등 전자제품에 상호관세를 면제해준 품목과 관련, 면제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며 “한두 달 내”로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날은 또 트럼프가 “자동차 회사를 도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관세 완화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
이 같은 발언 속에 증시는 일단 강세로 마감하기는 했지만 S&P500의 경우 장 중 100포인트 가까이 급변동하는 등 변동성이 지속되며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를 반영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한 번 속으면 네 탓, 두 번 속으면 내 탓’이라는 제목의 고객 노트에서 “투자자들은 앞으로도 여러 차례 시장에 속을 준비를 해야 한다”며 관세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은 계속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부동산은 2% 이상 올랐고 유틸리티와 소재, 산업, 의료건강, 금융, 필수소비재는 1%대 상승률이었습니다.
정작 기술업종은 강보합에 그쳤습니다.
애플은 기대감을 반영하며 2.21% 올랐지만 메타는 2% 이상 밀렸고 아마존도 1%대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트럼프가 자동차 회사를 도울 방안을 검토한다는 소식에 자동차 업체 주가는 강세를 보여 제너럴모터스는 3.46%, 포드는 4.07% 상승했습니다.
#뉴욕증시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주원([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