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대한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발표하면서 미국 증시가 일부 회복된 가운데, ‘친 트럼프’ 하원의원이 발표 당일과 전날 최대 수십만달러 규모의 주식을 산 것으로 나타났다고 뉴욕타임스 등이 현지시간 15일 보도했습니다.
공화당 소속의 ‘트럼프 충성파’ 마조리 테일러 그린 하원의원(조지아)은 이 같은 내용의 주식 거래 내역을 하원을 통해 공개했습니다.
미국 언론에 따르면 그린 의원은 지난 8일과 9일 1,001달러에서 1만 5천달러 범위에서 21건의 주식 거래를 했습니다.
이틀간 매수한 금액은 2만 1천달러에서 31만 5천달러(3천만 원~4억 5천만 원) 규모로, 매수 종목에는 아마존, 테슬라, 애플, 엔비디아, 퀄컴, 블랙스톤 등이 포함됐습니다.
미 하원의원은 주식 거래에 대해 30일 이내 신고하게 돼 있지만, 구체적인 금액 대신 대략적 범위만 기재하면 됩니다.
그린 의원은 또 같은 기간 5만달러에서 10만달러(7천만 원~1억 4천만 원) 사이의 국채도 매도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등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급락하던 지난 9일 오전, SNS에 “지금은 매수 적기”라는 글을 올렸고, 3시간 뒤 ’90일 유예’ 조치를 전격 발표했습니다.
이에 미 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유예’ 발표 전에 트럼프 측 인사들이 이른바 ‘내부자 거래’를 했는지 조사해줄 것을 당국에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CNN에 따르면 러티샤 제임스 뉴욕주 검찰총장은 관세 유예 조치와 관련해 최근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과 주변인들의 내부자 거래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다만 본격적 수사가 아니라 초기 조사 단계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상호관세 #트럼프 #공화당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준흠([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