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전방위 관세 부과로 인해 연간 820억달러(약 117조 원) 규모의 세계 다이아몬드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현지시간 15일 보도했습니다.
두바이와 함께 다이아몬드 유통 허브로 꼽히는 벨기에 앤트워프에서 다이아몬드 일일 배송량은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표 이후 평소보다 85%가량 감소했습니다.
앤트워프 다이아몬드센터의 카런 렌트메이스터르스 최고경영자(CEO)는 관세로 인해 다이아몬드 배송이 사실상 멈춰 섰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에 부과한 10%의 기본관세 대상에 금이나 구리 등 여러 광물이 제외됐으나, 다이아몬드는 관세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또 원산지에 따라 상호 관세도 예고된 상태입니다.
세계 다이아몬드 소비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미국의 다이아몬드 수입 비용이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는 모습입니다.
광산업체 트러스트코 리소시스의 리처드 체트워드 회장은 다이아몬드 산업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해서 다이아몬드 제조업이 미국으로 유입될 수 없는 구조라면서 “갑자기 관세를 부과하면 그대로 희생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보츠와나 등지에서 채굴한 다이아몬드는 두바이를 포함한 유통 허브를 거쳐 인도에서 가공됩니다.
세계 다이아몬드의 90%가 인도에서 폴리싱(연마) 작업이 이뤄지는데, 이 공정이 진행된 국가가 다이아몬드 완제품의 원산지로 인정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잠시 유예한 인도에 대한 상호관세는 27%입니다.
프리테시 파텔 GIA 운영책임자(COO)는 관세 부과로 인해 홍콩, 두바이 등 해외 8개 사무소의 운영을 강화했다면서 “관세가 전체 공급망에 많은 불확실성을 가져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인증만을 위해 미국으로 수입된 다이아몬드가 관세 면제 대상이 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관세 #다이아몬드 #배송량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