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이 미국 여성 소비자들에게 더 큰 부담을 지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CNN 방송은 현지시간 16일 미국 정부가 세계 각국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는 145%의 관세율을 적용한 점 등을 거론하며 “필시 여성이 지불해야 할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원래 미국의 관세 정책이 여성보다 남성에 유리하게 설계돼 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일례로 2022년 기준 여성 의류에 부과된 관세는 평균 16.7%로, 남성 의류의 평균 관세율(13.6%)보다 높았습니다.
이 같은 격차로 인해 여성용 물품의 소비자 가격이 남성용보다 더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인데, ‘핑크 택스(세금)’라는 용어는 바로 이런 현상을 반영한 것입니다.
미국 싱크탱크인 진보정책연구소(PPI)의 무역·글로벌시장 담당 국장인 에드워드 그래서의 연구에 따르면 여성과 남성 의류에 부과되는 관세 격차로 인해 미국 여성들은 연간 총 20억달러(약 2조 8천억 원) 이상의 비용을 지불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새 관세 정책이 여성에게 크게 불리한 것이 아닐 수 있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로리 테일러 미국 텍사스주 A&M 대학교 공공서비스·행정학과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는 남성 의류에 대한 관세 상한선을 높여 의도치 않게 관세의 성별 격차를 좁힐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여성이 평균적으로 의류에 더 많은 돈을 지출하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궁극적으로 여성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CNN은 지적했습니다.
저소득층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저소득층의 경우 소득에서 의류나 생활필수품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고소득층보다 더 높기 때문에 이들 물품에 붙는 관세가 가계에 즉각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아울러 고급 의류보다 저가 의류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된다는 점도 저소득층의 부담을 키우는 요인으로 지적됩니다.
미국에서는 원단에 따라 다른 관세율이 부과되는데, 울·캐시미어·실크와 같은 고급 원단의 관세율이 저가 의류나 운동화 제작 등에 사용되는 면·폴리에스터·나일론의 관세율보다 더 낮습니다.
#트럼프 #관세 #여성 #핑크 택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