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엔비디아 인공지능(AI) 칩의 중국 수출 통제를 한층 강화한 가운데,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을 방문했습니다.
오늘(17일) 관영 중국중앙TV(CCTV)는 황 CEO가 이날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초청으로 베이징에 온 뒤 런훙빈 CCPIT 회장과 회담을 가졌다고 보도했습니다.
CCTV에 따르면, 황 CEO는 “중국은 엔비디아에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계속해서 중국과 협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상무부가 엔비디아 ‘H20’ 칩의 대중국 수출 통제를 결정한 것에 대해서도 “미국 정부가 반도체 수출 통제를 강화한 것은 이미 엔비디아 사업에 중대한 영향을 줬다”고 했습니다.
이어 그는 “중국 시장을 30년 깊게 다진 기업으로서,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과 함께 성장하고 서로 성취한다”며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규모 있는 소비시장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그 왕성하게 발전한 산업 생태와 선도적인 소프트웨어 능력은 우리가 혁신을 지속하는 중요한 동력이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황 CEO는 “엔비디아는 앞으로 계속해서 규제 요구에 맞는 제품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데 힘을 아끼지 않을 것이고, 흔들림 없이 중국 시장에 서비스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AI가 여러 업계의 발전 구도를 심각하게 바꿔놓고 있지만, 그것은 그저 시작에 불과하다”며 “의료•보건이든 금융 서비스든, 기후 과학•기술이든, 제조업이든 모든 업종이 AI가 유발한 전복적 변혁을 맞이할 것”이라고 했다고 CCTV는 전했습니다.
이번 방문은 그가 지난 1월 중국을 찾은 이후 약 3개월 만입니다.
당시 황 CEO는 강경한 대중국 압박을 예고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을 앞두고 대만과 중국 엔비디아 지사를 방문했습니다.
아마존•구글•메타 등 다수의 미국 기술 분야 CEO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것과 다른 행보였습니다.
그는 대만을 거쳐 엔비디아 베이징지사 춘제(春節•음력설) 행사에 참석해 AI를 주제로 연설했고, 이후 상하이도 찾았습니다.
이번 황 CEO의 중국 방문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에 처음으로 대중국 수출 제한 조치를 발표한 가운데 이뤄졌습니다.
이날 황 CEO는 상징처럼 여겨졌던 검정 가죽 점퍼가 아닌 정장을 입었습니다.
엔비디아는 지난 9일, 미국 정부로부터 H20 칩을 중국에 수출하려면 미국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다는 통보를 받았으며, 14일에는 이 규제가 무기한으로 적용될 것이라는 통지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엔비디아는 미정부가 H20 칩이 중국 슈퍼컴퓨터에 사용•전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새 규제의 근거로 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때인 2022년부터 국가 안보를 이유로 미국산 최첨단 반도체의 대중 수출을 규제해 왔습니다.
엔비디아는 규제를 피하고자 기존 주력 상품이던 H100 칩보다 성능이 낮은 H20 칩을 제작해 중국에 수출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이 규제를 H20으로까지 강화한 것입니다.
H20 칩은 그간 미국 정부의 규제적용을 받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엔비디아가 중국에 수출할 수 있는 가장 최고급 사양의 AI 칩이었습니다.
연산 능력은 낮지만, 고속 메모리 및 기타 칩과의 연결성이 뛰어나 슈퍼컴퓨터 제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블랙웰보다 성능은 낮지만, 블랙웰에서 사용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장착해 일부 성능이 개선되기도 했습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지난 1월 발표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AI 모델 학습에도 H20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엔비디아 #중국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서연([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