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습니다.
‘성금요일’ 휴장을 하루 앞두고 상대적으로 거래가 한산했던 가운데 시장을 움직일 만한 재료도 뚜렷하진 않았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 해임 압박을 넣었으나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하진 않았습니다.
현지시간 17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27.16포인트(1.33%) 하락한 39,142.23에, 나스닥종합지수는 20.71포인트(0.13%) 내린 16,286.45에 장을 마쳤습니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00포인트(0.13%) 오른 5,282.70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관세 협상에 대한 기대감은 강해지는 흐름입니다.
백악관이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관세 정책에 관한 새로운 내용을 발표하진 않았지만 다만 일본과 멕시코와의 관세 협상에선 진전이 있었다고 시사했습니다.
반면 트럼프는 파월에 대해선 재차 해임할 수 있다고 위협했습니다. 파월이 전날 공개 발언에서 관세로 인플레이션 상승이 우려된다며 당장 통화정책 기조에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트럼프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내가 요청하면 파월은 당장 떠날 것”이라며 나는 그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그를 내쫓고 싶다면 파월은 곧바로 떠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이같은 소식들은 시장에 큰 움직임을 만들지는 못했습니다.
관세 불확실성으로 지친 투자자들은 ‘성금요일’ 연휴를 앞두고 쉬어가는 분위기였습니다.
US뱅크웰스매니지먼트의 롭 하워스 선임 투자전략가는 “시장은 방향을 기다리고 모색하는 단계”라며 “지금은 무역협정이 어떻게 될지 지켜보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엔비디아의 H20칩이 대중 수출 제한 대상이 된 여파는 이날도 이어졌습니다.
엔비디아의 주가는 3% 내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 중 낙폭이 가장 컸습니다.
넷플릭스는 장 마감 후 1분기 매출과 순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고 발표해 넷플릭스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4% 넘게 뛰고 있습니다.
알파벳은 자회사 구글이 온라인 광고 기술을 불법적으로 독점했다고 미국 연방 법원이 판결하면서 주가가 1%가량 밀렸습니다.
업종별로는 의료와 기술, 통신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상승했습니다.
필수소비재와 에너지는 2% 넘게 뛰었고 부동산과 유틸리티도 1%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뉴욕증시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주원([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