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쟁에 참전해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한 미군 병사의 신원이 75년 만에 확인됐습니다.
현지시간 22일 미국 국방부와 CBS뉴스 등 매체에 따르면 미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은 한국전쟁 당시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한 앨버트 J. 에스트라다 육군 상병의 신원을 지난 16일 파악했습니다.
에스트라다 상병은 17세 때이던 1950년 7월부터 미군에서 복무하기 시작해 같은 해 11∼12월 제7보병사단 제31연대 소속으로 함경남도에서 벌어진 ‘장진호 전투’에 투입됐습니다.
이 전투에서 미군을 포함한 유엔군 3만 명은 혹독한 지형과 맹추위 속에서 17일 동안 중공군과 북한군 12만 명과 전투를 치렀습니다.
DPAA는 이 전투가 “한국전쟁 전체에서 치열한 전투 중 하나였다”며 장진호 전투에서만 미 해병을 포함해 1천 명 넘게 전사했고 이들 가운데 수백 명의 시신을 즉시 수습하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에스트라다 상병은 1950년 12월 6일 실종됐고, 3년 뒤인 1953년 12월 미 육군은 그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습니다.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재단에 따르면 그는 이미 미국 대통령이 수여하는 퍼플하트와 참전기장 등 여러 훈장을 받았습니다.
에스트라다 상병의 신원 확인을 위해 백방으로 노력한 그의 형제도 2018년 그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습니다.
DPAA는 에스트라다 상병의 유해를 어느 시점에 북한으로부터 넘겨받았는지는 공개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이어진 한국전쟁에서 미군은 3만7천 명이 전사했고, 8천 명이 실종됐습니다.
#한국전쟁 #미군 #유해 #DPAA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