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김민아

[앵커] 이처럼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문제를 두고 미국과 러시아 간 직거래가 현실화하자, 우크라이나와 유럽연합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 대응책 모색에 부심 중입니다. 하지만, 당장 현실적으로 마땅한 수가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입니다. 이치동 기자입니다. [ 기자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급기야 종전 협상을 서두르는 미국을 공개 비판했습니다. 유럽 안보의 큰 그림은 무시하고,…

더 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부에 지원 대가로 5천억 달러, 720조원을 요구했다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주 우크라이나 정부에 제시한 ‘재건투자기금’ 협정 초안을 입수한 신문은 초안에 담긴 조건이 “법적으로 영원히 우크라이나를 미국의 경제적 식민지로 삼는 것에 해당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우크라이나의 배상 부담액이 어떻게 하더라도 갚기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더 보기

[뉴스리뷰] [ 앵커 ] 캐나다 토론토 공항에서 착륙하던 여객기가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고 당시 활주로에는 눈이 내린 상황이었는데, 다행히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남미 볼리비아에서는 버스가 수백m 협곡 아래로 추락하며 30여명이 숨졌습니다. 윤석이 기자입니다. [ 기자 ] 눈이 소복이 쌓인 공항 활주로에 여객기 한 대가 배를 드러낸 채 전복돼 있습니다. 긴급…

더 보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설립한 인공지능 기업 ‘xAI’가 최신 버전 챗본인 ‘그록 3’을 공개했습니다. xAI는 현지시간 17일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중계된 발표에서 그록 3이 수학과 과학, 코딩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오픈AI의 GPT-4o와 중국의 딥시크의 V3 모델 등을 앞섰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회사의 엔지니어 3명과 함께 등장한 머스크는 그록 3이 “지구에서 가장 똑똑한 AI”라며…

더 보기

[타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이 “푸틴 대통령은 필요하면 젤레스키(우크라이나 대통령)와도 협상할 수 있다고 반복해서 말해왔다”고 밝혔습니다. 타스 통신은 페스코프 대변인이 현지시간 18일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전하면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정당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현실을 고려해 합의의 법적 근거를 확보하는 방법을 진지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더 보기

[뉴스리뷰] [앵커] 미국 국무부가 홈페이지에서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문구를 삭제했습니다. 중국은 크게 반발했는데, 정작 대만에서는 중국을 상대로 한 협상용 카드에 불과하다는 경계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지난 15일 뮌헨 안보 회의에 모인 한미일 외교장관은 대만이 적절한 국제기구에 참여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내정 간섭이라며 발끈했는데, 이보다 더…

더 보기

[뉴스리뷰] [앵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을 이주시키고 개발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구상을 환영하며 직접 추진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을 찾은 친트럼프계 상원의원은 가자 구상에 대한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한미희 기자입니다. [기자] 이스라엘 국방부는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의 자발적 이주 정책을 추진할 새 부서를 만든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 총리는 가자 주민에게 원한다면…

더 보기

[ 앵커 ] 미국과 러시아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개전 후 처음으로 장관급 회담을 열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우크라이나 종전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강재은 기자입니다. [ 기자 ]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지난 12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하고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로부터 약 일주일 뒤, 양국…

더 보기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과 러시아가 현지시간 18일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방안을 놓고 협상을 시작했다고 로이터 등이 보도했습니다. 미·러 양국은 전쟁의 주요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의 참여를 일단 배제한 채 이날 리야드에서 장관급 협상 테이블에서 마주했습니다. 양국은 미·러 정상회담 일정을 비롯한 양자 관계의 전반적 회복과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의제로 논의할 것으로…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