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임혜준

미 CBS “트럼프, ‘내가 혼돈이라고? 한국을 보라’ 농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이 농담으로 “모두가 나를 혼돈 상황이라고 부르지만 한국을 보라”는 언급을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 CBS 방송은 현지 시각 18일 트럼프 당선인의 2기 행정부 출범 준비 과정에 정통한 인사들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방송은 트럼프 당선인이 “만약 그들이 그를…

더 보기

中·日 매체도 ‘尹 구속’ 긴급타전… “한국, 불확실한 미래 직면” [앵커] 중국과 일본 매체들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 등의 소식을 신속히 전했습니다. 중국 전문가들은 한국이 불확실한 미래에 직면했다면서도 양국 관계 변화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습니다.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기자] 중국 신화통신은 윤석열 대통령이 구속되자마자 긴급 뉴스로 타전했습니다. 헌정 사상 처음으로…

더 보기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로스앤젤레스(LA)의 대형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이 수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이들의 주택 수요를 노리고 임대료를 대폭 올리는 집주인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의 부동산 정보 사이트 질로우에는 최근 LA 다운타운에 있는 방 3개짜리 신식 아파트의 월 임대료가 8,500달러, 약 1천240만원으로 게시됐습니다. 이는 3개월 전인…

더 보기

[뉴스초점] ‘트럼프 취임 D-1’…정·재계 인사 줄줄이 미국행 <출연 :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장> 트럼프 2기 시대가 곧 시작됩니다. 계엄 사태로 어지러운 정국 혼란 속에 정·재계의 발길도 바빠지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한국 외교, 어떤 과제들이 있는지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장과 짚어봅니다. [질문1]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을 앞두고 있습니다. 다시 워싱턴 DC로 돌아온 만큼…

더 보기

미국을 방문한 한궈위 대만 입법원장이 인솔하는 대만 대표단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대만 언론들은 오늘(19일) 대만 외교부를 인용해 “강추위로 취임식이 대폭 축소되면서 대만 축하단 등 각국 방문단이 현장에서 행사를 관람할 수 없게 됐다”고 전했습니다. 매체들은 “대만 축하단이 어떤 방식으로 행사에 참여할 것인지는 아직 미국의 통지를 기다리는…

더 보기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인질 명단을 두고 신경전을 이어가면서 휴전 발효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군은 당초 가자 휴전이 발효될 예정이던 시각 “하마스가 요건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면서 “인질 명단을 넘기지 않으면 공격을 계속하겠다”고 공표했습니다.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는 석방될 인질 명단을 받을 때까지 휴전은 시작되지 않을 거라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더 보기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세계적 인기를 누리는 숏폼 동영상 공유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가 예정대로 중단됐습니다. A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틱톡은 미국 동부시간으로 18일 밤 기준 구글과 애플이 운영하는 미국 앱스토어에서 삭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앞서 틱톡은 일명 ‘틱톡 금지법’이 발효되는 19일부터 미국 내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중단된다고 공지한 바 있습니다. 틱톡은 “일시적으로…

더 보기

우크라 “파병 북한군, 현대전 빠르게 적응…한반도 전쟁 시 한몫”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병사들이 드론 전술이 중심이 되는 현대전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다는 경고가 또 나왔습니다. 우크라이나군 정보총국의 바딤 스키비츠키 부국장은 현지시간 18일 영국 옵저버와의 인터뷰에서 북한군이 조만간 위협적 존재로 변모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스키비츠키 부국장은 “처음 그들은 크게 무리를…

더 보기

중국 매체 ‘尹, 현직 대통령으로 첫 구속’ 긴급타전…일본 언론도 관심 [앵커] 중국 매체들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법원 난입 등 소식을 신속히 보도했습니다. 일본 언론들 역시 윤 대통령의 구속을 주요 뉴스로 전했는데요.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관영 신화통신 등 중국 주요 매체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사실을…

더 보기

‘친이스라엘’ 트럼프 취임…가자 휴전 이후 중동 정세는 [앵커] 지지부진하던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 협상이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을 불과 닷새 앞두고 전격 타결됐습니다. 집권 1기 때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밀착했던 트럼프의 재집권이 앞으로 중동 정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한미희 기자입니다. [기자]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달 초부터 자신의 취임 전까지 이스라엘 인질을 석방하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