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신주원

[EPA 연합뉴스 자료 사진] 2019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한국인 관광객 25명의 목숨을 앗아간 유람선 침몰 사고로 재판에 넘겨진 가해 선박 선장의 1심 재판이 다시 열립니다. 부다페스트 항소법원은 현지시간 15일, 과실로 수상교통법을 어긴 혐의로 기소된 유리 카플린스키 선장에 대해 지난해 5월 내려진 1심 판결을 취소하고 재판을 새로 시작하라고 결정했습니다. 2023년 징역 5년6개월을…

더 보기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현지시간 15일 가자전쟁 휴전 합의에 도달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통신에 따르면 양측은 가자지구에서의 전투 중단과, 하마스에 억류된 이스라엘 측 인질과 이스라엘에 수감된 팔레스타인 인사 간의 맞교환에 합의했습니다. 이로써 지난 2023년 10월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종식될 길이 열렸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재동([email protected])

더 보기

북한군 포로 “내 신분증, 러시아 말이라 못 읽어”…”북한군 자폭 잇따라” [앵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북한군 포로의 신문 영상을 추가로 공개했습니다. 영상 속 인물은 생포 경위와 가짜 신분증, 교전 수칙 등에 대해 한국말로 비교적 또렷하게 답했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북한 병사들이 포로로 잡히기 전 자폭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윤석이 기자입니다. [기자]…

더 보기

美 국방장관 지명자, ‘北 핵보유 지위’ 언급 왜…군축회담 노리나 [앵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첫 국방장관 지명자가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북한의 핵 보유와 관련해서 여러 해석의 여지가 있는 말을 남겨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립니다. 주한미군 등 해외 전력 재배치 계획도 시사했습니다.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지명자가 북한의…

더 보기

백악관, 尹 체포에 “한국 정부·시민의 헌법 준수 인정” 미국은 오늘(15일)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수괴 등 혐의로 체포된 데 대해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강조하며 한국 정부와의 협력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이날 대변인 명의 성명을 통해 미국은 한국 정부와 공조에 계속 헌신할 것이며 헌법을 준수한 한국 정부의 노력과…

더 보기

중국 언론도 ‘윤석열 체포’ 긴급타전…생중계에 실검 1위 [앵커] 중국 매체들도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 소식을 긴급 타전하며 비상한 관심을 보였습니다. 각 방송사들은 실시간 생중계로 체포영장 집행 과정을 보도했는데요. 중국 포털과 SNS에서도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올랐습니다.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중국 매체들은 윤석열 대통령 체포 소식을 긴급 속보로 내보냈습니다. 헌정 사상 첫…

더 보기

뉴욕한인회(회장 김광석)가 지난 1월 13일 맨해튼 지그펠트 볼룸에서 ‘제65주년 뉴욕한인의 밤 및 제122주년 미주한인의 날’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뉴욕한인회는 이번 행사를 통해 한인 이민의 역사를 기리고, 앞으로도 한인 커뮤니티의 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다할 것을 다짐했다.이날 행사에는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 브래드 랜더 뉴욕시 감사원장, 마크 레빈 맨해튼 보로청장, 도노반 리처드…

더 보기

(과천=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내란 우두머리와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출석하고 있다. 2025.1.15 [공동취재] [email protected] (끝) 미국은 오늘(15일)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수괴 등 혐의로 체포된 데 대해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강조하며 한국 정부와의 협력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더 보기

외신들도 ‘윤 대통령 체포’ 일제히 타전…”현직 대통령 체포 사상 초유”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수괴 등 혐의로 체포됐다는 소식, 전 세계 외신들도 일제히 중요 뉴스로 보도했습니다. 이른 새벽부터 실시간으로 체포 관련 속보들이 전해졌습니다. 정래원 기자입니다. [기자] AP와 로이터, CNN 등 외신들은 “한국 역사상 초유의 사태”라며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 소식을 전했습니다. 영국…

더 보기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 일본 등 대미 수출의존도가 높은 6개국이 미 신정부 출범을 앞두고 다양한 대응전략을 구사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무엇보다 트럼프가 대선공약으로 내세웠던 고관세 정책 및 중국 우회수출 규제에 대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China+’ 생산·투자 거점으로서의 입지구축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와 KOTRA(사장 강경성)는…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