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문형민

러 “푸틴·트럼프 언제든 전화 가능…신호 기다려”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언제든지 전화 통화로 대화를 시작할 수 있지만 미국 측의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고 현지시간 16일 밝혔습니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담당 보좌관은 이날 텔레그램에서 공개된 인터뷰 영상에서 “우리 대통령은 대화할 준비가 됐다고 반복해서 말해왔다”며 “침착하게 신호를 기다리고…

더 보기

美 국무 지명자 “김정은에 핵무기는 ‘영구집권용 보험’…대북정책 재검토” [앵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 후보자가 도널드 트럼프 2기 대북 정책에 대해 더 넓은 관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독재자가 권력 유지를 위한 ‘핵무기 보험’에 들어놓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의 핵무기는 결국 40대 독재자의 영구집권을 위한 보험이라는 것이 루비오…

더 보기

중국 연구진들이 중국식 찐빵을 이용해 현존 최강 비핵 폭발물의 파괴력과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전했습니다. 중국 중베이대 차오슝 화학공학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해 11월 중국병기장비공학저널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 같은 기술을 소개했습니다. 가장 파괴적인 비핵 폭발물은 CL-20(헥사나이트로헥사아자이소부르치탄)로 중국 과학자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CL-20을 대량 생산 기술을 개발했지만 특정 물질 추가시…

더 보기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 분야 중국 기업 20여곳을 무더기로 거래제한 리스트에 추가하자 중국이 즉각 반발했습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16일) 브리핑에서 “미국이 국가안보 개념을 일반화하고, 제재의 큰 방망이를 휘둘러 중국 기업의 권익과 국제무역 질서를 심각하게 훼손했다”고 밝혔습니다. 궈 대변인은 “이는 전형적인 경제적 압박이자 횡포, 일방적인 괴롭힘으로, 중국은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더 보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후보자가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지칭해 논란인 가운데, 중국은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위해 각국이 나서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16일) 헤그세스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호명한 것과 관련해 “중국의 한반도 입장은 불변하다”며 “중국은 정치적 해결이 각 당사자의 공동…

더 보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국무장관 후보자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이 중국을 ‘가장 위험한 적국’으로 지목하자, 중국은 미국이 ‘올바른 대중국 인식’을 가져야 한다며 맞섰습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16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의 발전에는 분명한 역사적 논리와 강한 내생 동력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궈 대변인은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내놓은 상호존중·평화공존·협력호혜 원칙으로 중미 관계를 바라보고…

더 보기

“가장 값비싼 화재”…美 LA 산불 손실 규모 36조원 추정 [앵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번지고 있는 산불이 현대 역사상 가장 값비싼 화재 사고로 기록될 거라는 예측이 나왔습니다. 산불이 이례적으로 거주 지역을 대규모로 강타하면서 일대 임대료도 치솟고 있는데요. 강재은 기자입니다. [기자] LA 산불로 인한 총 손실액이 250억 달러, 우리 돈으로 36조원이 넘을 거라는…

더 보기

[UPI=연합뉴스.재판매 및 DB금지]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 후보자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현실적인 양보’를 강조했습니다. 루비오 후보자는 현지시간 15일 인사청문회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포기할 것은 포기하고, 협상에 나설 것을 주문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더 많은 땅을 차지하기 위해 ‘막판 총력전’을 벌이는 상황. 루비오 후보자는 현실주의자 면모를…

더 보기

가자전쟁 470일 만에 휴전 합의…’인질 석방·단계적 철군’ [앵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15개월 만에 가자전쟁의 휴전에 전격 합의했습니다. 양측은 일단 6주간 교전을 멈추고 3단계에 걸쳐 인질 석방과 군 병력 철수, 영구 휴전 등을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윤석이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에 대한 기습공격으로 시작된 ‘가자전쟁’.…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