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주 미얀마에 7.7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며 1천명 넘게 사망한 가운데, 여진이 이어지며 추가 피해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보도국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강재은 기자.
[기자]
강진으로 수천명의 사상자가 나온 미얀마에서 강력한 여진이 이어지며 추가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AP 통신 등에 따르면, 강진 발생 사흘째인 30일, 지진 피해가 가장 컸던 미얀마의 제2 도시 만달레이 인근에서 5.1 규모의 지진이 또 발생했습니다.
내전 중인 미얀마에서 중부 만달레이 일대는 군사정권이 장악한 곳으로, 군정은 어제(30) 저녁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를 약 1,700명, 부상자를 3,400명으로 발표했습니다.
또 실종자는 300명으로 집계했습니다.
이는 전날 미얀마 군정이 밝힌 사망자 1,644명, 부상자 3,408명과 비슷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이처럼 강한 여진이 잇따르면서 피해가 더 불어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날은 또 인도네시아 아체주에서도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동남아 지역에서 지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편, 미얀마 강진으로 공사 중이던 30층 높이의 정부 청사 건물이 무너진 태국 방콕에서도 사상자가 늘었습니다.
방콕시 당국은 이번 지진으로 총 17명이 숨졌고, 32명이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실종자는 83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유엔이 ‘중대 위기’를 선언하고 국제사회에 도움의 손길을 요청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유엔 산하 세계보건기구, WHO는 미얀마 지진을 최고 등급의 비상사태로 선포했습니다.
미얀마 내 열악한 의료 환경과 질병 확산 가능성을 언급하며, 800만 달러, 약 117억원의 긴급자금 지원을 국제사회에 요청했습니다.
국제 적십자연맹도 미얀마 강진을 돕기 위해 우리 돈 약 1천600억원 규모의 긴급 모금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밝혔는데요.
적십자는 이번 지진을 “복잡한 인도적 위기”라고 설명하며, 향후 24개월 동안 약 10만명에게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미얀마 만달레이 등 피해 지역에서는 생존자들을 찾기 위한 구조작업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자원봉사자들과 시민들은 마땅한 장비 없이 손으로 잔해를 파내며 필사의 구조를 벌이는 상황입니다.
현재 중국과 러시아, 인도, 싱가포르 등이 파견한 구호물자와 인력이 속속 미얀마에 도착하고 있는데요.
국제사회의 지원이 이어지면서 구조 작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미얀마 #지진 #유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강재은(fairydu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