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방일’이라고 지칭한 상호관세 부과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미국에 불공정한 모든 나라가 대상이라는 기존 입장만 반복한 채 구체적인 윤곽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혼란과 경계심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정호윤 특파원입니다.

[기자]

백악관은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상호주의에 따라 관세율을 가져걸거라는 암시만 했을 뿐 부과 대상 국가 같은 구체적인 내용에는 말을 아꼈습니다.

다만 미국과의 무역에서 큰 이익을 취해온 사례로 유럽연합의 50% 유제품 관세, 일본의 700% 쌀 관세, 또 인도와 캐나다를 열거했습니다.

<캐럴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수요일의 목적은 국가별 관세이지만 대통령은 분명히 부문별 관세 부과에도 전념하고 있다고 말해왔습니다. 저는 대통령이 그 결정을 언제하고 언제 발표할지는 그에게 맡기겠습니다.”

미 무역대표부는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한 연례보고서인 ‘국가별 무역 장벽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우리나라와 관련해서는 ’30개월 이상 쇠고기 수입 금지’와 ‘네트워크 망 사용료’ 또 한국 자동차시장에 대한 접근 필요성도 담았지만 지난해와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나라가 상호관세의 대상이 될거라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현지시간 3월 30일)> “(모든 나라에 상호관세를 적용하는 건가요?) 본질적으로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는, 계속 이야기해 온 모든 나라들이 대상입니다.”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미국 내 여론은 비판적인 분위기로 기우는 모습입니다.

AP통신이 공개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식 무역 협상 방식에 대한 반감이 60%로 나타났고, 지지 의사는 38%에 불과했습니다.

하루 전 미 CBS방송 여론조사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문제에 ‘지나치게 집중하고 있다’는 답변이 55%로 가장 많았습니다.

<정호윤특파원>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절정을 향하면서 아시와와 유럽 증시는 폭락했고 뉴욕증시는 관세에 대한 경계감 속에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상호관세 #트럼프 #D-2 #증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ikarus@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