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 발표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워싱턴 연결해서 현지 분위기를 들어보겠습니다.
정호윤 특파원 전해주세요.
[기자]
이제 이틀 뒤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방의 날’이라고 지칭한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화 될텐데요.
여전히 많은 물음표만 남아있습니다.
미국과의 무역에서 많은 흑자를 남겨왔거나 미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해온 나라가 표적이 될거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지만 단정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모든 나라가 대상이 될거라는 입장인데요.
잠시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모든 나라에 상호관세를 적용하는 건가요?) 본질적으로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는, 계속 이야기해 온 모든 나라들이 대상입니다.”
조금 전 미국 무역대표부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의회에 ‘국가별 무역 장벽 보고서’를 제출했는데요.
미국 수출 기업들이 직면한 대외 무역의 장벽과 이를 줄이기 위한 무역대표부의 노력을 담은 보고서입니다.
매년 3월31일에 제출하는 연례 보고서지만 올해는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있어 특별한 관심을 모았는데, 우리나라와 관련된 분량은 약 7쪽 정도로 확인됐습니다.
우선 30개월 이상 쇠고기 수입 금지와 화학 물질 등록과 평가에 관한 규제, 또 네트워크 망 사용료와 공공 부문에 적용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을 주요 무역 장벽으로 기술했습니다.
지난해 보고서와 비교하면 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1일까지 국가별 무역 현황을 정리해 불공정 정황을 찾아낸 뒤, 다음날 부터 상호관세를 부과할거라고 밝혀왔는데요.
하지만 구체적인 상호관세 부과 방식을 두고는 매번 말이 달라져 많은 혼선을 주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무역 분야 주요 인사들마다 약속이나 한 듯 상호관세 대상국가도 또 관세율도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결정할 거라고 입을 모으고 있어 지금으로서는 좀처럼 종잡을 수 없어 보입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오늘 상호관세 부과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대상국의 숫자 등 구체적인 내용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할 것이라는 답변을 반복했는데요.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의 말입니다.
<캐럴라인 레빗 / 백악관 대변인> “수요일의 목적은 국가별 관세이지만 대통령은 분명히 부문별 관세 부과에도 전념하고 있다고 말해왔습니다. 저는 대통령이 그 결정을 언제하고 언제 발표할지는 그에게 맡기겠습니다.”
[앵커]
트럼프식 관세정책에 대한 반감이 미국 내에서도 꽤 크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잇따르고 있다고요?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상호관세 정책 발표를 앞두고 미국 주요 매체들이 여론조사 결과를 앞다퉈 공개하고 있는데 하나같이 비판적입니다.
AP통신과 시카고대 여론 연구센터가 1천2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오늘 공개했는데요.
‘다른 나라와의 무역협상 방식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0%로, 지지한다는 답변 38%를 크게 웃돌았고요.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무당파 응답자 사이에서는 트럼프의 경제 운영 전반과 무역 협상에 대한 반감이 70%에 가까웠습니다.
어제 미 CBS방송이 공개한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문제에 ‘지나치게 집중하고 있다’는 답변이 55%로, ‘그렇지 않다’고 답한 7% 보다 월등하게 높았습니다.
글로벌 증시에도 상호관세의 불안감이 엄습하고 있는데요.
우선 아시아 증시가 폭락한 데 이어 유럽 증시도 하락 마감했고요.
상호관세에 대한 경계감이 높아지며 하락세로 출발한 뉴욕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현장연결 송혁진)
#상호관세 #트럼프 #증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ikaru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