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곧 상호관세 관련 발표를 내놓을 예정인 가운데 나온 미국의 무역장벽 보고서는 앞으로 미측의 협상 카드로 사용될 수도 있을 전망입니다.
우리로선 미리 대비해야 할 출제 예상문제인 셈인데요, 정래원 기자입니다.
[기자]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공개된 미 무역대표부 보고서는 향후 무역협상에서 미국이 내밀 청구서 목록이 될 전망입니다.
미국 측은 상호관세가 종착역이 아니라, 무역 협상의 시작이 될 거라고 거듭 강조해왔습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지난달 14일)> “무역 기준선이 형평성 있게 재조정되면, 그다음엔 개별 국가들과의 양자 협상에 나설 수 있습니다.”
한미 FTA의 경우 트럼프 1기 당시 미국의 재협상 요구에 따라 한국의 자동차 시장을 더 개방하는 방향으로 개정된 바 있습니다.
이번 무역대표부 보고서에서도 한국 자동차 시장에 대한 접근 확대는 우선순위로 거론됐습니다.
우리로선 예민한 문제인 월령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 제한도 문제로 제기됐고, 외국인의 원전 소유 금지도 올해 처음으로 들어갔습니다.
상호관세 발표 뒤 미국이 새로운 무역협정 체결을 요구한다면 이 같은 무역장벽에 대한 시정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각국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는 가운데, 미국 내 일자리에 대해서도 어두운 전망이 나왔습니다.
CNN 방송은 관세 전쟁 속에 미국의 일자리도 빠르게 사라질 수 있다며, 특히 자동차 생산량이 감소하고, 관련 일자리가 위협받을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트럼프 정부 역시 관세 정책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는 농민에 대해서는 지원책을 고려 중입니다.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집단으로 보복 관세를 매길 경우, 미국 농가는 특히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중국은 이미 추가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밀과 옥수수, 면화 등에 보복관세를 부과했고, 유럽연합도 보복관세 품목으로 농산물을 예고했습니다.
연합뉴스 정래원입니다.
#트럼프 #상호관세 #무역전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래원(o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