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이 중국에 10+10% 관세에 이어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은 수출 전선에 타격이 불가피해졌습니다.
베트남과 태국 등 그간 우회수출로로 활용되던 국가에도 고관세가 부과되면서 고심이 커졌는데, 일단 단호한 반격조치를 예고했습니다.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상호관세는 34%.
앞서 10+10% 보편관세가 부과됐던 만큼 상호관세까지 합쳐 중국산 제품에 54%의 고관세가 붙게 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후보 시절 내건 ‘대중국 60% 관세’에 거의 근접한 모양새입니다.
미국 땅에 중국산 제품이 거의 발을 들여놓지 못하게 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중국 정부는 단호한 반격 조치를 예고했습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대응 원칙을 세운 만큼 앞서 두 차례 조치보다 더 강경한 대응이 나올 것이란 전망입니다.
<허야둥/중국 상무부 대변인> “미국의 국내 산업에 도움이 되지 않을뿐더러 미국의 일방주의·보호주의·괴롭힘주의의 본질을 부각시킬 뿐입니다. ”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피해가 예상되는 산업은 신에너지 자동차와 배터리, 태양광 등입니다.
그간 중국 기업의 해외 기지 역할을 했던 베트남에는 46%, 태국도 36%의 상호관세가 매겨지면서 우회수출로까지 차단될 것이란 우려가 나왔습니다.
여기다 미국이 중국발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폐지하면서 테무, 쉬인 등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타격이 예상됩니다.
당장 다음 달 부터 800달러, 우리 돈 120만 원 이하 모든 상품에 25% 이상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톈쉬안/칭화대학교 국립금융연구소 학장> “우리로 하여금 더 독립적이 되도록 할 것이며 어느 정도 국내 수요를 증가시켜 // 외부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거나 수출 감소에 대비하도록 할 것입니다.”
현지 매체들은 미국 판매처에서 중국 생산업체에 가격 인하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최대 30%까지 가격을 낮춰달라는 요구에 생산업체들은 마진이 남지 않아 공장 운영에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삼진(baesj@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