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25%라고 밝혔지만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적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행정명령에 따라야 한다”면서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26%가 맞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를 발표면서 제시한 패널에는 한국에 적용할 상호관세율이 25%로 표기돼 있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한국의 관세율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주요국의 관세율은 이 패널에 표시된 수치를 가지고 발표했습니다.
백악관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개한 각국의 관세율 표에도 한국은 25%로 적시됐습니다.
백악관 관계자는 1%포인트 차이에 대한 연합뉴스의 확인 요청에 조정된 수치라면서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수치를 따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용했던 패널과 행정명령 부속서에 한국의 상호관세율이 달리 표기된 이유에 대해선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한국 외에도 인도, 스위스, 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 파키스탄, 세르비아, 보츠와나 등도 트럼프 대통령이 들고 있던 패널 속 수치보다는 관세율이 1%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주미 한국대사관 측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자료와 부속서상 수치가 다른 것을 확인했으며 문제 제기를 한 상태”라고 말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에 대한 상호 관세율을 25%로 표기했다가 이후 26%로 수정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이 상호관세를 계산한 방법이 대부분 알려지지 않았고, 발표 당시 패널에 표시된 수치와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수치가 달라 혼란이 가중됐다며 한국을 예로 들었습니다.
한미희 기자 mihee@yna.co.kr
#트럼프 #상호관세 #한국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미희(mi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