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일본 정부도 한일 외교에 미칠 영향을 가늠하며 선고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오늘(3일)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윤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선고로 파면되면 60일 이내에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고, 일본에 엄격했던 진보 세력으로 정권 교체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습니다.
이어 “파면된 대통령의 성과는 비판 대상이 되기 쉽다”며 집권 자민당 내에서 윤 대통령이 극적으로 개선한 한일관계가 다시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고 전했습니다.
요미우리는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파면 이후 취임한 문재인 대통령은 위안부 합의를 사실상 백지화했다”며 이번에도 탄핵소추안에 대일 외교를 비판하는 내용이 담겼다가 마지막에 삭제됐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국내 정세에는 여러 움직임이 있지만, 현재의 전략환경에서 한일관계의 중요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인식으로 양국이 노력해 갈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신문은 탄핵 기각·각하로 윤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해도 국회에서 여당이 소수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고 야당의 공세로 정권 기반이 약해질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 경우 한국의 대일 외교 추진력도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요미우리는 “일본 정부는 한국 여론을 포함해 사태의 행방을 지켜보려 한다”고 전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jus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