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미국은 한국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정부의 반응을 워싱턴을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정호윤 특파원.
[ 기자 ]
네, 워싱턴입니다.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은 이 곳 시간으로 금요일 오전에 나왔습니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하고 약 12시간 정도가 지난 시점이었는데요.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미국은 한국의 민주적 제도와 법적 절차, 또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새 대통령이 선출될 때까지 한덕수 권한대행, 한국 정부와 협력해 한미동맹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는데요.
이에 더해 한미 양국에 안보와 번영을 가져올 긴밀한 협력의 미래를 기대하고 동맹의 지속적인 힘과 대한민국 방위에 대한 공약을 재확인한다고도 밝혔습니다.
[ 앵커 ]
정호윤 특파원,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헌법재판소 결정에 별도의 반응을 내놨습니까?
[ 기자 ]
네, 백악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과 관련해 입장을 내지 않았습니다.
이 곳 워싱턴에 있는 다양한 한국 언론사들이 백악관 측에 입장을 물었지만 답을 받지 못한 상황인데요.
다만 앞서 주한 미국 대사관이 짤막한 두 줄짜리 입장을 내놨습니다.
내용은 국무부와 크게 다르지 않은데요.
“한국의 민주주의 제도와 법적 절차, 또 헌법재판소 결정을 존중하고 한미 동맹의 지속적인 힘과 한국 방위에 대한 철통 같은 공약을 재확인한다”는 내용입니다.
또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대변인을 통해 “한국의 민주주의 원칙에 대한 의지와 평화롭고 안정적인 미래, 국가 제도에 대해 전적인 신뢰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곳 워싱턴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한국이 윤 전 대통령 탄핵으로 민주적인 회복력은 보여줬지만 앞으로 많은 난제가 있다고 입을 모았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비롯해 예측하기 힘든 각종 정책을 쏟아내고 있는 상황에서 리더십 공백이 두 달 가까이 이어질 한국 정부 입장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 우려하는 시선이 많습니다.
아직 표면화되지는 않았지만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포함해 이제 광풍이 불기 시작한 관세 문제에서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탄핵 #윤석열 #한미동맹 #민주주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ikaru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