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주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선언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안팎의 반발에도 강경한 관세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관세 부과를 미룰 계획도 없고 미국 경기가 침체될 거라는 우려는 기우에 그칠 것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워싱턴 정호윤 특파원입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을 옹호하기 위해 미 행정부 주요 인사들이 총력전에 나섰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미 CBS방송에 출연해 “상호관세 부과는 연기되지 않고 며칠, 혹은 몇주간 유지될 것”이라고 못박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렇게 발표했고 농담이 아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과 무역거래가 전무한 남극 인근 무인도까지 관세 부과 대상으로 삼은 이유에 대해서는 “우회 수출을 차단하기 위해서”라고 강조했습니다.
관세 전쟁이 미국 경기 침체로 이어질거란 우려에는 경제 분야 핵심 인사들이 지원군으로 나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책사지만 최근 사임설이 돌기도 했던 베선트 재무장관은 경기 침체를 고려할 이유가 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을 적극 옹호했고,
<스콧 베선트 / 미국 재무장관> “저는 경기 침체가 반드시 발생한다는 가정을 부정합니다. 시장이 하루 뒤, 일주일 뒤에 어떻게 반응할지 누가 알겠습니까?”
관세와 무역 의제를 주도하는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의 수장도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케빈 해싯 /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50개 이상의 국가가 대통령에게 협상 개시를 요청해왔다는 보고를 어젯밤 미 무역대표부로부터 받았습니다. 그들은 많은 관세를 부담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겁니다.”
러시아를 무차별 관세 부과의 예외로 둔 것은 “우크라이나와 종전 협상을 진행 중이기 때문이지 다른 대우를 하는 건 아니”라고 부연했습니다.
하지만 이같은 전방위 엄호에도 트럼프 관세 정책을 바라보는 미국 내 우려는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여당인 공화당 내부에서 조차 급진적 관세 정책이 불러올 경기 침체와 이로 인한 민심 이반이 내년 중간선거 완패로 이어질거라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주말 동안 미국 전역과 런던, 파리 등 유럽 주요 도시에서는 트럼프의 일방주의 국정 운영에 반발하는 대규모 시위가 이어졌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트럼프 #상호관세 #인플레이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ikaru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