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월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이 출시된 이후 중국과 미국의 AI 기술 격차가 1년 만에 크게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스탠퍼드대 인간중심AI연구소가 현지시간 7일 발표한 ‘AI 인덱스 보고서 2025’에 따르면 AI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는 플랫폼 ‘LMSYS 챗봇 아레나’에서 평가한 미국과 중국의 최고 AI 간 성능 차이는 지난 2월 1.7%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 2월 미국 최고 AI 모델로 평가된 구글이 종합적 성능 평가에서 받은 점수(1,385점)와 중국 최고 AI 모델로 평가된 딥시크가 받은 점수(1,362점)를 비교한 결과입니다.
지난해 1월 9.3%에서 크게 줄어든 수치입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는 1,366점을 받아 구글보다 약간 뒤처졌습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양국 간 인공지능 기술 격차는 모든 평가 지표에서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표적인 AI 언어 이해력 평가인 대규모 멀티태스크 언어 이해(MMLU)에서 두 나라의 성능 차이는 2023년 말 17.5%였지만, 불과 1년 만에 0.3%까지 좁혀졌습니다.
또한 과학, 예술, 공학 등 범용 인공지능(AGI)의 전반적인 능력을 시험하는 벤치마크(MMMU) 격차에서도 같은 기간 13.5%에서 8.1%로 줄었습니다.
수학 문제 해결 능력의 경우 격차는 24.3%에서 1.6%, 다중언어 코드 생성 성능은 31.6%에서 3.7%로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성능 지표에서 모두 격차 축소가 확인됐습니다.
이는 AI 분야에서의 기술 격차가 급격히 줄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향후 글로벌 AI 경쟁 구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출시한 주목할 만한 AI 모델 수에서도 미국은 40개, 중국은 15개로 양국 간 25개 차이가 났습니다.
2022년에는 미국 70개, 중국 20개였습니다.
이 외에 프랑스는 3개, 한국을 비롯해 캐나다,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는 1개 모델을 출시했습니다.
보고서는 “딥시크의 R1 출시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하드웨어 자원의 일부만을 사용해 해당 성능을 달성했다고 회사 측이 발표해 또 다른 주목을 받았다”며 “이는 미국 증시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가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불러일으켰다”고 언급했습니다.
지난해 AI에 대한 민간 부문 투자는 미국이 1,099억 8천만 달러(161조 8천억 원)로 중국(92억 9천만 달러)의 10배를 넘었습니다.
2023년 전 세계 컴퓨터 과학(CS) 분야 논문 중 중국의 논문 비중이 23.2%로 미국(9.20%)을 크게 앞질렀고, 중국은 지난해 전체 AI 특허의 69.7%를 차지했습니다.
#딥시크 #구글 #챗지피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서(ms3288@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