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이 미국의 관세 부과에 타격을 입을 자동차 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전기차 전환 관련 규정을 완화합니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세계 무역이 변화하고 있어 경제와 국가 재편에 더 멀리, 더 빨리 나아가야 한다. 국내 기업이 영국 노동자가 만든 영국산 차를 수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면서 현지시간 7일 이같이 밝혔습니다.
영국 정부 발표에 의하면, 2030년까지 휘발유·경유차 판매를 단계적으로 종료한다는 기존 정책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제조업체의 전기차 판매 의무 일정을 더 유연하게 조정 가능하며 목표 미달에 따른 과징금도 인하됩니다.
이에 더해 하이브리드차와 내연기관 승합차는 2035년까지 판매가 가능하고 애스턴 마틴, 맥라렌 등 소량 생산 슈퍼카 업체는 전기차 관련 규정에서 면제됩니다.
한편, 영국 정부는 전기차 구입에 대한 세금 감면과 충전 인프라 개선에 대한 23억파운드(4조3천억 원)의 투자는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 영국은 유럽연합(EU) 다음으로 많은 76억파운드(14조원) 규모의 자동차를 미국에 수출한 바 있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2일 대부분의 영국산 제품에 10% 상호 관세를 적용한다고 밝혔습니다.
스타머 총리는 7일 오후 잉글랜드 중부 솔리헐에 있는 재규어 랜드로버 공장을 방문해 “미국의 자동차 관세가 우리 미래에 엄청난 도전이며 세계의 경제적 후과가 심각할 것”이라며 “여러분(자동차 업계)을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스타머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직접적인 비판을 삼가는 편이었지만, 이날은 미국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 주요국가와 협력하겠다는 뜻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전 세계 무역 장벽을 낮추고 세계 다른 국가들과 무역 거래를 활성화하고, 자유롭고 개방적인 교역의 대의를 지키기 위해 핵심 파트너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