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폭탄’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곤두박질치자 미국 억만장자들도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홈디포의 공동 창립자로, 오랜 공화당 지지자인 켄 랭곤은 현지시간 7일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와 관련해 참모들로부터 “제대로 조언받지 못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베트남에 대한 46%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 “말도 안 되는 헛소리”라면서 “차라리 ‘전화하지 말라’고 소리치는 편이 낫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에 대한 34% 상호관세에 대해서도 “너무 공격적이며, 너무 빠르다”며 “진지하게 협상할 기회도 주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랭곤은 “더 건설적인 접근 방식은 수입품에 10%의 보편관세를 부과한 다음 각국과 양자 협상을 하는 것”이라면서 “관세 산정 공식을 이해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멘토로, 억만장자 투자자인 스탠리 드러켄밀러도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 게시글에서 “10%를 초과하는 관세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했던 억만장자 투자자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 캐피털 회장도 관세를 “중대한 정책 오류”라면서 다른 국가들과 협상하기 위해 관세를 90일간 유예할 것을 촉구하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스스로 초래한 경제 핵 겨울”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세계 3대 투자가로 꼽히는 짐 조지도 FT에 보낸 이메일에서 “관세가 상당히 짧은 기간 일부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누구에게나 도움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상호관세 #억만장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lee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