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개발 중인 6세대 전투기, J-36로 추정되는 전투기의 근접 촬영 영상이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현지시간 7일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The War Zone)’은 중국 쓰촨성 청두항공 주식회사(CAC) 공장 비행장 인근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개하며, 중국의 J-36 무미익(無尾翼, tailless, 꼬리날개가 없는 형태의 항공기) 스텔스 전투기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12월 26일 첫 시험 비행이 포착된 후 가장 가까이서 촬영된 영상입니다.
공개된 영상은 차량 내부에서 촬영된 것으로, 고속도로 상공에서 가로등에 닿을 정도로 저공 비행하는 기체의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포착된 J-36은 각 유닛에 트윈 휠(한 축에 두 개의 바퀴가 나란히 달린 착륙 장치로, 착륙 시 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이 장착된 대형 랜딩 기어(착륙 장치)를 펼친 상태였습니다.
조종석 구역과 제트 엔진 흡입구 구조 등 주요 외관 특징도 관측됐습니다.
더워존은 전방 동체 상단은 유선형으로 설계된 듯 보이며, 조종석이 나란히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은행잎을 연상시키는 외형의 J-36은 현재까지 중국 국방부가 공식 발표하지 않은 차세대 전투기입니다.
다만 시범 비행을 하는 모습이 몇 차례 포착됐고, 중국 관영 CCTV도 최근 관련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중국 군사 전문가 송중핑은 “이는 당국이 6세대 전투기의 존재를 인정한 셈”이라며 “J-36이 (기존 중국의 전투기인) J-10과 J-20의 뒤를 이을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평가했습니다.
중국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J-36이 모든 측면의 광대역 스텔스 기능을 보유하고 있고, 자체 개발한 초음속 엔진 WS-15 3기가 장착돼 고속 비행이 가능하다고 보도했습니다.
최근 미국도 6세대 전투기 개발을 공식화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차세대 전투기 이름을 ‘F-47’로 명명하고 보잉을 주사업자로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까지 만들어진 전투기 중 가장 강력하고 치명적인 전투기가 될 것”이라며 “적들은 그 속도를 예측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데이비드 올빈 미 공군참모총장은 F-47 프로젝트 발표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지난해 12월 6세대 전투기의 시험비행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진정으로 세계 최초의 유인 6세대 전투기는 F-47밖에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중국 #전투기 #미국 #J-36 #F-47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서연(jswh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