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으로 미국인들이 양말과 같은 일상용품을 구하기 힘들어질 거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세계 최대 도매시장인 중국 저장성 이우 시장에서 미국 고객들이 사라졌다고 현지시간 14일 보도했습니다.

WSJ는 이전까지는 미국 바이어들이 ‘거의 모든’ 제품을 사기 위해 이우 시장을 찾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정책 이후 “살 만한 상품이 거의 없어졌다”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중국에 총 145%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중국도 이에 대응해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25%까지 끌어올렸습니다.

WSJ에 따르면, 이우 시장 상인들은 미국인들이 양말과 같은 일부 일상용품을 구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우 시장은 미식 축구장 1천 개를 모아둔 것보다 규모가 크며, 이곳에 입점한 판매상은 7만5천 개에 달합니다.

이우 시장 내 양말 코너에서 판매하는 양말은 대부분 ‘세계 양말 수도’로 불리는 주지시에서 생산됩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주지시의 한 지구에서는 연간 약 250억 켤레의 양말을 생산하고 있는데, 이는 전 세계 양말 생산량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양입니다.

양말은 이윤이 낮아 145% 관세를 상쇄하기 위해 양말 가격을 낮추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게 양말 제조업체들의 설명입니다.

주지시에 본사를 둔 한 양말 제조업체는 매년 50만 켤레 양말을 미국에 납품해 왔는데 올해 관세가 인상되기 시작하면서 미국 시장에 대한 주문이 중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제무역센터의 ‘무역 지도’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미국의 양말·스타킹 수입의 56%가 중국산이었습니다.

WSJ은 “중국 외에 파키스탄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등도 양말을 생산하고 있지만 숙련된 노동자들을 보유한 중국 업체들의 가격과 생산 속도를 따라잡긴 어렵다”며 “미국 소비자들이 다른 나라에서 생산된 양말을 구매할 경우 더 많은 돈을 내야 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트럼프 #관세 #통상분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지운(zwoonie@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