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에서 100달러에 팔리고 있는 인기 스포츠 의류브랜드 ‘룰루레몬’의 레깅스가, 중국 공장에서 5달러에 만들어지고 있다는 영상이 최근 중국 틱톡에서 화제입니다.
미중 간 관세전쟁 속에 이른바 ‘미국 흔들기’가 시작된 건데, 미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실상을 알게 됐다는 반응도 나옵니다.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중국의 저장성 OEM 생산공장.
틱톡의 인플루언서가 룰루레몬에서 파는 100달러짜리 자켓은 원가가 8달러, 레깅스는 5달러라고 폭로합니다.
이 공장에서는 언더아머 같은 미국 브랜드도 생산하는데, 영상을 올린 지 하루 만에 500만명이 넘게 시청했습니다.
구매 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틱톡 인플루언서> “여성용 가방은 바오66닷컴에서 구매하시면 되고요. 잡화류는 차이나굿닷컴에서 찾으면 됩니다.”
3만8천달러, 우리 돈 5천만원이 넘는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 버킨백을 1400달러, 190만원 정도에 생산한다는 제조업자도 등장했습니다.
이 공장에는 5천명 정도가 일하는데, 샤넬과 에르메스의 주문자 부착생산 계약이 만료돼 지금은 로고 없이 생산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생산 과정도 자세히 설명합니다.
<중국 가방생산업자> “이 가방의 원재료는 150달러입니다. 가장자리에 사용되는 마감재는 이탈리아에서 수입합니다. ”
이른바 짝퉁으로 인식되던 중국산 제품이 실제로는 미국과 유럽의 명품 브랜드에서 자사 라벨만 붙여 수십배나 높은 가격에 팔리고 있다고 폭로한 겁니다.
실제 틱톡과 X(엑스)에는 비슷한 영상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캠페인을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정책을 약화시키기 위한 정교한 시도로 보고 있습니다.
일부 네티즌들은 미중 관세전쟁으로 미국이 보여주고 싶지 않았던 명품의 진실을 알게 됐다는 반응입니다.
<미국 네티즌> “무역 전쟁이 진짜와 가짜를 판가름 해줬네요. 실제는 중국에서 값싸게 만들었고 우리가 그동안 샀던 명품을 사지 않는게 나을 수도 있다고요 ”
일각에서는 중국이 자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여론을 돌리기 위해 틱톡을 무기로 쓰고 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다만 이 같은 원가 폭로가 사실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 이후 미국 브랜드 불매 운동도 확산되고 있는데, 일각에서는 중국 내 글로벌 기업의 생산기지 철수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삼진(baesj@yna.co.kr)